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절대 안된다'

민간주도 서명운동 전개, 미얀마 군부규탄도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한 반발이 도민사회에 번지고 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이통장단 협의회가 지난달 일본 영사관 앞에서 강력항의를 한데 이어 민간 주도로 서명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이번 서명운동은 종전부터 이어 온 군부쿠데타에 항의하는 미얀마 민중을 응원하기 위한 서명운동에 더해 국제사회를 향해 제주시민들이 목소리를 공식적으로 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대한 반대서명 운동을 벌이는 현달형 대표가 9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방침에 대해서도 도민 의견을 모으고 있다

 

미얀마 군부쿠데타 반대와 민주화지지 제주생명평화운동연대(대표. 현달형)는 이전 관련 서명운동에 나선데 이어 9일 오전 제주시 동문로터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서명운동을 같이 펼쳤다.

 

현달형 대표는 방사능 물질이 해양에 방루되면 바다자연생태와 인간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전제한 뒤 125만톤이 넘는 오염수가 40~50년 사이에 해양생태를 오염시키게 된다면서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데다 제주는 무조건 큰피해를 입게 된다고 규탄했다.

 

또한 현 대표는 학살을 멈춰라, 1980년 광주와 어찌도 이렇게 닮았단 말인가고 미얀마 사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현 대표는 “UN 등은 무엇을 하는 지 도대체 알 수 없다. 국제사회의 대응이 너무 미진하다노약자, 어린 아이들과 임산부에게 무차별 사격하는 천인공노할 만행이 벌어지는 실정이라고 안타까워했다.

 

특히 운동본부는 제주는 미얀마 민주화를 지지한다.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를 중단하라 미얀마 군부는 미얀마 국민에 대한 무차별 살상행위를 즉각 중단하라 국제사회는 미얀마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에 당장 앞장서라 얼마나 더 죽어야 하는가? 유엔은 즉각 행동에 나서라 등의 4개항을 내세운 바 있다.

 

현달형 대표는 “4.3의 아픔을 가지고 있는 제주인으로서 미얀마의 학살 현장을 보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젊은 시절, 광주 민주화 운동에 격분 독재정권에 저항한 경험이 있는 시민으로서 가만히 있기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현 대표는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방침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주변국은 물론이고 지구촌 전체를 파멸로 몰아넣겠다는 너무 무분별한 판단이라며 지금이라도 국제사회의 엄정한 검증을 거쳐 다른 방안을 도출해 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제당수도연맹 아시아 연합회 부총재, 대한생활체육연맹 부총재, 도전한국인본부 부총재 겸 제주도위원장을 맡고 있는 현 대표는 정기적으로 서명운동에 나설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시, 공중이용시설 점검으로 중대시민재해 예방
제주시는 공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제주종합경기장을 비롯한 25개소에 대해 안전보건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중대시민재해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중이용시설 등의 관리상의 결함으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이번 점검은 제주시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 185개소 중 체육시설 등 주요 시설 25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주요 점검 사항은 ▲안전보건 관리체계, ▲공중이용객 측면의 유해·위험 요인, ▲재해 발생 시 비상대응체계 등이다. 점검 결과, 확인된 유해·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개선 조치를 요청하고 안전보건 관리 및 비상대응 체계 등 보완이 필요한 경우 시정을 요구하여 개선 결과까지 확인할 계획이다. 제주시는 매년 공중이용시설의 현황을 전수조사하여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을 지정하고 있으며, 올해 지정 시설은 도로·교량, 체육시설 등 185개소다. 아울러,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정밀안전진단 등 시설물 안전 점검의 누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기별․관리부서별 자체 점검도 실시해 오고 있다. 박기완 안전총괄과장은 “철저한 시설 관리로 시민과 관광객의 안전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