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만원으로 화훼농가·꽃집에 행복을”

7일 오전 도청-도의회-교육청 공동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5월 가정의 날을 맞아 코로나19로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와 꽃집을 돕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제주도는 화훼 소비 활성화를 위해 7일 오전 930분부터 제주도의회, 제주도교육청과 공동으로 사랑의 꽃 사주기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현재 절화류인 경우 지난해 대비 거래금액 30% 이상, 거래물량 30~40% 증가하면서 화훼 소비가 일시적으로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5월 특정 시기에 꽃 수요가 증가하는 틈을 노려 저가의 화훼류 수입이 늘고 있고,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으로 각종 기념행사까지 취소되고 있어 아직도 화훼업계가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화훼 소비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와 꽃집의 판로를 확보하기 위해 ()한국화원협회제주지회(회장 김순자, 이하 제주화훼협회)를 통해 캠페인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각 기관별로 국내산 카네이션에 대한 수요조사를 진행했으며, 1,000명의 직원들이 구매 의사를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7일 제주화원협회에서는 착한꽃집*을 통해 직원 1,000여 명에게 카네이션을 배송했다.

 

특히 많은 직원들이 꽃 사주기 캠페인에 동참할 수 있도록 도내 착한꽃집 37개소 모두 탐나는전 가맹점에 등록했다.

 

카네이션은 절화와 분화 형태로 판매됐으며, 판매가격은 각각 1만원이다.

 

김순자 제주화원협회장은 최근 코로나19로 화훼업계가 많이 힘든 시기에 화훼 소비 촉진을 위해 적극 참여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이번 캠페인을 통해 화훼업계 모두가 코로나19를 이겨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홍충효 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지난 3사랑의 꽃 천다발 나눔행사에 이어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의 꽃 사주기 캠페인을 전개했다화훼 업계의 어려움을 반으로 줄이고 행복은 두 배로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 영향으로 화훼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업계를 위해 지속적인 화훼 소비 촉진 캠페인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보건소,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 맞아 합동캠페인
서귀포보건소에서는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을 기념(매년 6월 26일)하여 6월 28일(토) 오후 2시부터 서귀포시 일호광장 일대에서‘불법 마약류 퇴치 및 오남용 예방’을 위한 합동 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도약사회서귀포시지부와 서귀포 3개 보건소 25여 명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마약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현장에서는 ▲마약류 중독 예방관련 O,X 퀴즈 ▲마약류 관련 설문조사 ▲피켓 등을 활용하여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올레시장까지 이동하며 거기 캠페인도 이어나갔다. 특히 올레시장 내에서는 불법 마약류 퇴치와 함께 ‘민생경제 살리기’홍보도 동시에 실시하여 시민들과 상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 6. 23.(월)부터 6. 27.(금)까지 5일간 약사회와 협업하여 서귀포시 청사 내에 ‘마약의 위험성 경고’ 및 ‘불법마약류 퇴치’를 주제로 한 포스터를 전시, 청사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다. 현승호 서귀포보건소장은 “이번 행사는 약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에게 마약류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실질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