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에너지절약 실천과 방법. 서귀포보건소 이채원

에너지절약 실천과 방법

서귀포보건소 이채원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증가율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에너지는 그 양이 한정되어 있고 또 우리나라는 에너지 자원이 적어서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계속 낭비를 하게 되면 일상생활이 매우 불편해지고 쓸 수 있는 에너지는 결국에 고갈하게 된다. 그러므로 에너지의 소중함을 깨닫고 절약 실천 방법을 알고 생활화한다면 많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우리가 쉽게 지킬 수 있는 에너지 절약 실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로 적정한 실내온도를 유지한다. ·난방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는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절반 이상으로 합리적인 냉난방 온도 설정이 꼭 필요하다. 에어컨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난방 시에는 18°C 이하, 냉방 시에는 26°C 이상 준수한다. 1°C 낮추거나 높이면 7%의 에너지가 절감되는 것뿐만 아니라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을 준다. 하절기에는 복장을 간소화하고 동절기에는 내복을 입는다. 에어컨의 날개를 위쪽으로 향하게 하면, 위쪽의 더운 공기를 먼저 식혀주면서 실내온도를 한층 더 빠르게 낮출 수 있다.

 

둘째로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는 뽑는다. 전자제품은 전원을 꺼도 계속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컴퓨터나 가전제품의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전의 준비상태로 유지하는 데 소비되는 전력인데, 이것을 대기전력이라고 한다. 대기전력으로 낭비되는 에너지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10%에 해당하며, 국가 전체 가구 수의 대기 전력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5,000억 원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쓰지 않을 때는 플러그를 뽑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멀티탭을 사용한다.

 

셋째로 모니터와 본체를 절전모드로 설정하고 프린터, 스피커, 스캐너 등 부속기기는 사용할 때만 전원을 켜놓고 사용한다. 컴퓨터는 여러 가지 부품이 사용되는 만큼 많은 소비전력을 사용한다. 일반 컴퓨터 연간 전력 소비량은 166kWh인데 절전형 컴퓨터로 사용 시 126kWh의 절감효과가 있다.

잠시 다른 일을 할 때는 자동으로 절전 기능을 설정해서 전기세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

 

모두 알고계시지만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우리가 솔선수범해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하여 시민들에게도 합리적인 에너지 소비를 유도하고 시민과 함께 많은 에너지를 절감하고 환경을 지킬 수 있길 바란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섬지역 어린이들 대상 찾아가는 교통안전교육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교통안전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섬지역 어린이들을 위해 ‘섬찾아 삼만리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추진한다. 이번 교육은 우도와 추자도 지역의 초등학생과 병설유치원, 어린이집 원아 등 4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지리적 여건으로 교통안전교육을 받을 기회가 적었던 섬지역 어린이들을 직접 찾아가 현장 중심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안전의식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최근 섬지역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렌트카 등 유입차량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교통약자인 어린이들의 교통사고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자치경찰단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체험 중심의 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이 스스로 교통안전 수칙을 익히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자치경찰관 2명이 진행하는 이번 교육은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한 실감형 교통상황 체험, 모형 횡단보도에서의 실전 통행방법 연습, 직접 안전용품 만들기 등 참여형 콘텐츠로 구성돼 어린이들의 자발적 학습 참여를 유도한다. 오충익 자치경찰단장은 “제주의 모든 어린이는 어디에 살든 동등한 안전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며 “이번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위험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안전 시민으로 성장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