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칼럼)삼성노조허용, 그동안 우린 뭐였나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를 '선물 받듯'

수년 전 삼성을 다니던 조카가 돌연 그만뒀다.

 

고향 제주를 떠나 회사가 있던 경기도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터라 갑작스런 조카의 백수행()’은 주변 친인척들에게 걱정을 안겼다.

 

명절날 집에 들른 조카에게 , 남들은 못 들어가서 난리치는 그 좋은 직장 그만 뒀냐고 물었다.

 

조카는 삼성이라는 회사가 봉급도 상대적으로 좋고 복지도 훌륭한 건 사실이지만 자기 시간이 없어요라고 답했다.

 

아침 일찍 출근하면 밤 늦어야 퇴근 할 수 있고, .일 휴일에도 집에서 쉰다는 것은 꿈도 꾸기 힘들다는 것이다.

 

.퇴근이 정확한 외국인 회사를 목표로 공부하던 그는 회계사 시험에 합격, 전문직으로 이직했다.

 

공부를 잘했던 조카이기에 가능했지, 만약 나였다면 언감생심, 삼성이라는 직장에서 죽으라면 죽는 시늉하며 정년까지 버티려고 필사적으로 마치 물 위의 오리처럼 다리를 허우적 거렸을 것이다.

 

삼성전자서비스가 80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서, 노조활동을 보장한다고 밝혔다.

 

모든 언론은 ‘80년 삼성 무노조 경영 막 내렸다고 거의 1면 톱으로 기사를 처리했다.

 

반가운 소식이다.

 

그런데 한구석은 찜찜해 온다.

 

분명 헌법에는 노동 3권을 보장하고 있다.

 

노조를 만들 수 있는 단결권, 회사와 대화를 하는 단체교섭권, 대화가 어긋나면 실력으로 행사하는 단체행동권이 그것이다.

 

물론 삼성은 보수와 복지를 다른 회사가 흉내 내지 못할 만큼 줘서 노동조합이 불필요한 회사를 만들어 왔다고 강변해 왔다.

 

과연, 그런가?

 

내 눈에 흙이 들어오기까지 노조를 허용할 수 없다는 선대(先代)의 유훈에 따라 삼성이 노조를 적대시했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회자됐다.

 

이번 검찰이 노조활동 방해 문건 등을 압수수색 하면서 발견하기 직전까지도 삼성은 이러한 기조를 이어온 것으로 짐작된다.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 3권에 정면으로 맞서 온 삼성이 법적 처리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80년이 지나 노조활동허용이라는 유화책을 들고 나섰다.

 

지금이라도 노조가 허용돼 다행이라는 우리의 시각이 한심스럽다.

 

80년 동안 과연 삼성 앞에서 국가와 헌법은 무엇이었던가.

 

반헌법 행위를 처벌해야 하거나 견제해야 하는 국가권력, 검찰, 법원, 경찰, 노동관계기관, 언론 등은 그동안 어디 있었나.

 

삼성의 경영방침은 헌법 위에 존재하는 절대 지존의 지침과 같은 것이었나.


삼성의 노조허용을 '선물 받듯'하는 우리들.


권리를 겨우 돌려받으면서도 마치 감격한 것처럼 호들갑떠는 우리들.

 

모두가 곰곰이 돌아봐야 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민 생명 지킨다”제주도, 자살예방 대책 가동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살률 증가에 대응해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는 등 도 차원의 맞춤형 예방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제주지역 자살사망자는 232명,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3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주도는 자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업회의 개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중심의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현장에서 활동하는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을 확대하고 자살위기 대응 시스템도 개선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위험군은 집중관리한다. 생명사랑 실천가게 운영과 정신응급 대응체계 강화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의 자살 급증지역 컨설팅 강화 방침에 맞춰 제주도도 지역별 자살 현황을 정기 점검하고 급증 지역은 원인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자살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