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주감귤 망신, 온라인 '파치감귤'

저급품 판매실태, 중앙언론 대대적 보도

본격 노지감귤 수확. 판매 시기가 온 가운데 제주 감귤의 이미지가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제철을 맞아 온라인 쇼핑으로 제주산 귤을 사서 먹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는 추세.

 

하지만 일부 판매자들이 싼 가격을 미끼로 판매가 금지된 저품질 귤, ‘파치귤을 판매하고 있어 고객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중앙언론들은 이 소식을 크게 전했고 주요 포털에 올라 제주감귤이 망신을 사고 있는 실정이다.

 

10kg1만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유혹당한 한 구매자는 귤 표면은 상처로 가득했고, 금귤만 한 작은 크기의 귤은 껍질 까는 시간이 아까울 정도였다. 속았다는 기분에 인터넷에 사진을 찍어 올렸다.

 

이에 비판적인 댓글이 올랐다고 중앙언론들이 소개했다.

 

제주도는 제주산 귤의 품질과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에 판매할 수 없는 상품 기준을 만들었다.

 

지름 49~70mm 기준에 들지 않는 너무 작거나 큰 귤은 파치이다. 골프공처럼 작은 소과(小果)는 먹기 불편하고, 너무 큰 대과(大果)는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껍질이 들뜬 귤이나 껍질에 상처가 많고 지저분한 결점과(缺點果) 역시 판매할 수 없는 상품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정책을 비웃듯 인터넷 직거래 사이트나 온라인 쇼핑몰에는 제주에서 생산된 파치귤이 버젓이 이름을 올렸다.

 

관계당국은 조례상 비상품 등급 귤은 가공용으로만 팔 수 있고, 가격도 101500이라고 지적하면서 품질검사 도장이 찍힌 상품인데도 품질이 떨어지는 귤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제주도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