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는 지역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행복한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올 한해 총 10억2500만원을 투입하여 방과후 교육특화 프로그램 및 청소년 문화예술 학교를 운영할 계획이다.
우선, 서귀포 지역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학교별 정규수업과는 차별화된 지역적·문화적 특색있는 방과후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행복 체감도가 높은 교육활동을 지원한다.
지난 1월 29일까지 관내 70개교 초·중·고등학교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을 신청받아 학교규모, 지역 특화프로그램 발굴 여부 등심사 한 결과 최종 68개교(초등 44개교, 중등 14개교, 고등 10개교)를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 강사비와, 교재·재료비 등 총 387개 프로그램 예산 9억96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창의발명, 제주문화교실, 독서캠프, 오케스트라, 꿈을 그리는 미술, 심층 영어·수학 아카데미 등 예체능, 독서·논술, 창의·인성, 교과심화 분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자질향상 등 교육환경 만족도를 높여나간다.
특히 학령인구의 감소 및 농촌 인구 유출 등 힘들어하는 소규모 학교의 운영 활성화를 위해 28개교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109개 특화프로그램에 3억2300만원 예산을 지원하여 도심지역과의 교육격차 및 지역 불균형 해소를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청소년들의 태어나고 자란 지역을 배경으로 창의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로 영상 제작 등 청소년들의 건전한 문화예술 감수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청소년 문화예술 학교도 운영한다.
청소년 문화예술 학교는 관내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영화제작 이론 및 영상 촬영, 편집기술 등 12차수 커리큘럼으로 구성된 영화 제작 프로그램으로 상반기 운영되며, 코로나 확산추이에 따라 하반기에는 영화캠프도 병행하여 운영될 계획이다.
문화예술학교는 2017년부터 서귀포시와 (재)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과 협업하여 청소년들의 예술 창작 경험과 애향심을 높이기 위해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570여명이 학생들의 참여하여 만족도가 높은 프로그램이다.
서귀포시는 시민과 학생들이 체감하는 행복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관내 70개교를 대상으로 방과후 특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원해 오고 있으며, 「2019년 제주 사회조사 및 사회지표 분야」 중 소질과 적성개발 분야에서 만족 비율이 서귀포시는 42.3%로 제주시 36.9%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서귀포시는 앞으로도 체감도가 높은 창의적 교육활동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마을 교육공동체 프로그램 확대 운영, 청소년 참여형 토론아카데미, 소규모학교 활성화 사업 등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활동 지원에 적극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