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긴 장마와 올 겨울 폭설과 한파 등의 영향으로 출하량 감소한 사과‧배를 비롯한 과일류 및 일부 채소류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번 설 명절 차례상 비용은 전년대비 11.0% 상승할 것으로 나타나, 물가안정을 위한 대책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제주상공회의소(회장 김대형)는 지난 1/27(수)~28(목), 제주도내 재래시장을 대상으로 설 제수용품 중심 가격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설 차례를 준비하는데 드는 비용은 4인 가족 기준, 전년대비 11.0% 상승한 26만6870원선이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4인 가족 차례 상에 과실류 7품목과 나물 채소류 7품목, 육류 및 해산물류 6품목, 기타 가공식품 6품목으로 총 26개 품목을 올린다는 가정하에 산출된 금액이다.
과일류 7개 품목을 구매할 경우 가격이 모두 올라, 지난해 설 명절 대비 28.8% 상승한 7만9290원이 소요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지난해 긴 장마의 영향으로 공급이 감소한 사과, 배는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과실류중▲ ‘사과(5개)’의 경우 지난해보다 37.5%상승한 1만8330원대 ▲‘배(5개)’의 경우에는 38.9% 상승한 2만830원선, ▲‘단감(5개)’의 경우 가격이 16.8% 상승한 6330원선,▲ ‘귤(노지1kg)’의 경우 13.7% 상승한 2990원선, ▲‘밤(1kg)’의 경우 34.6%상승한 1만1670원선, ▲대추(300g)는 11.6%상승한 6140원선, ▲곶감(10개)의 경우 18.2%상승한 1만3000원선대.
나물채소류 7개 또한 모든 품목의 가격이 올라 지난해 보다 10.8% 상승한 30,340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를 제외한 채소류 전부 작황이 좋지 않아 높은 가격대를 보인다.
품목별 조사결과, ▲‘시금치(400g)’의 경우 39.9% 상승한 2700원선, ▲‘젖은고사리(400g)’의 경우 10.7%상승한 9130원선, ▲‘콩나물(국산1kg)'의 경우 전년도와 동일한 1500원선, ▲‘도라지(400g)’의 경우 역시 전년도와 동일한 8000원선, ▲‘애호박(1개)’의 경우 5.0%상승한 2500원선, ▲‘무(2kg)'는 13.8%하락한 1880원선, ‘대파(1kg,1단)’의 경우 47.0%상승한 4630원선.
육고기, 계란, 해산물류 6개 품목을 구매할 경우 작년 설보다 3.4% 상승한 11만6650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조류인플루엔자(AI)로 공급이 감소한 계란, 조업부진에 따른 오징어 가격이 강세를 보였다.
육류와 계란류에서 ‘소고기(산적,등심 1kg)’는 지난해보다 0.7% 상승한 5만1000원선, ‘돼지고기(오겹1kg)’의 경우 6.5% 상승한 2만4650원선, 계란(일반란 10개)은 작년대비 19.8% 상승한 3150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해산물류에서 ‘옥돔(국산1마리)’은 1.8% 상승한 2만3750원선, ‘동태포(500g)’의 경우 6.3% 하락한 7500원선, ‘오징어(2마리)’는 32.0%상승한 6600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가공식품류는 6품목을 구매할 경우 지난해보다 4.9%상승한 6만590원선이 소요된다.
제주상의 관계자는 “올 겨울 생산이 양호한 주요 월동채소(무, 양배추, 당근 등)의 가격은 하락한 반면, 지난해 긴 장마와 올해 한파의 영향을 받은 과일 및 일부 나물채소류(시금치, 대파)는 작황이 부진하여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또한 지속된 어획량 감소로 인해 생선류 물가도 다소 올라, 설 차례상을 준비하는 비용은 전년대비 많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경제상황에서 설명절 물가마저 큰 폭으로 상승해 서민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우려하며 “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물가안정을 위해 정부비축물량을 최대한으로 방출하는 한편,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지역 전통시장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마련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