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서승모의 한방탐구

서승모 한의사는 원광대학교 한의과 대학 졸업을 하고 현재 '전농로 한의원' 원장으로 계십니다.
불면증의 한방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방에서 불면증은 크게 허실(虛實)로 구별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허증으로는 심비양허(心脾兩虛) 심신불교(心腎不交) 심담기허(心膽氣虛) 등으로 나누어 치료하게 되며, 대부분 기혈(氣血)이 부족하여 신(神)이 영양되지 못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 심비양허(心脾兩虛)의 원인으로 인한 불면증의 경우에는 꿈이 많고 쉽게 깨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건망증이 있으며 몸이 쉽게 피곤해지고 입맛이 없으며 배가 더부룩하고 변이 무르게 되며 귀비탕(歸脾湯)으로 주치할 수 있습니다.

· 심신불교(心腎不交)의 원인으로 인한 불면증의 경우에는 머리가 어지럽고 귀 울음 증상이 있으며 입이 마르고 양 볼이 붉게 홍조를 띄고 손발 바닥에 열감이 있게 되며 황연아교탕(黃蓮阿膠湯)으로 주치할 수 있습니다. 

· 심담기허(心膽氣虛)의 원인으로 인한 불면증의 경우에는 꿈이 많으며 쉽게 깨고 마음이 불안하고 겁이 나며 잘 놀라고 의심이 많고 쉽게 혹하거나 몸이 피곤한 증상이 함께 있게 되며 안신정지환(安神定志丸)으로 주치할 수 있습니다. 

실증으로는 간울화화(肝鬱化火) 담열내요(痰熱內擾) 식체위완(食滯胃脘) 등으로 나누어 치료하게 되며, 실증은 갑작스런 원인으로 신명(神明)이 어지러워져 잠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 간울화화(肝鬱化火)의 원인으로 인한 불면증의 경우에는 잠이 적고 꿈이 많으며 머리가 아프고 눈이 붉으며 조급하고 쉽게 노하며 가슴이 그득하고 입이 마르거나 쓰고 변비의 증상이 있으며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으로 주치할 수 있습니다.

· 담열내요(痰熱內擾)의 원인으로 인한 불면증의 경우에는 잠을 못이루고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우며 가슴이 더부룩하고 가래가 많으며 신물이 넘어오고 입이 쓴 증상이 있게 되며 온담탕(溫膽湯)으로 주치할 수 있습니다. 

· 식체위완(食滯胃脘)으로 불면증이 생기면 잠을 이루지 못하고, 오목 가습이 답답해서 터질 듯하며 대변이 상쾌하지 못하게 되며 보화환(保和丸)으로 주치할 수 있습니다


잠을 잘 자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

·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갖습니다. 
· 낮잠을 자지 않습니다. 
· 수면에 안락한 환경이 되도록 침실을 잘 꾸밉니다. 
· 잠자리에 들기 전 긴장을 풀어줍니다. 
· 잠자리는 수면을 위해서만 사용합니다. 
· 잠이 잘 안올 때는 잠자리에 그냥 누워있지 않습니다. 
· 취침시 생각을 갖지 않도록 합니다. 
· 커피, 콜라, 차, 초코렛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을 저녁에 먹지 않습니다. 
· 취침시 담배나 자극성 약물을 피해야 합니다.
· 잠자기 전에 술을 먹지 않습니다. 
· 잠자리에 들기전 과자나 우유 같은 간단한 간식을 먹는 것도 좋습니다. 
·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자극적인 활동은 피합니다. 
·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민 생명 지킨다”제주도, 자살예방 대책 가동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살률 증가에 대응해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는 등 도 차원의 맞춤형 예방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제주지역 자살사망자는 232명,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3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주도는 자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업회의 개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중심의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현장에서 활동하는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을 확대하고 자살위기 대응 시스템도 개선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위험군은 집중관리한다. 생명사랑 실천가게 운영과 정신응급 대응체계 강화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의 자살 급증지역 컨설팅 강화 방침에 맞춰 제주도도 지역별 자살 현황을 정기 점검하고 급증 지역은 원인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자살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