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우리나라 대표 텃새, 새 중에 새 '참새'

우리민족 같은 소박한 새…환경변화로 개체수 감소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 숫자가 가장 많은 대표적인 텃새라면 어떤 새를 꼽을 수 있을까?

바로 '참새'다.

야외로 나가거나 주변을 둘러보면 쉽게 볼 수 있는 새가 바로 참새이지만, 농사를 짓는 농부들 눈에는 곡식을 해치는 가장 미운새로 통하는 것이 참새다.

하지만 실제로 참새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경우는 극히 일부다.

참새는 벼수확 시기인 20여일 간의 짧은 기간에 하루에 20여개의 낱알을 먹는다. 그 외의 기간에는 해충을 잡아먹고 살며, 하루에 해충을 80-120마리까지도 잡아먹기 때문에 산림의 측면에서 보며 이로운 새이기도 하다.

 
우매한 질문이지만 진짜(최고의) 새는 어디에 있을까?

역시 '참새'라고 할 수 있다.

‘참’이란 거짓이 아닌 진실을 말하고, '좋다'는 의미와 최고를 꼽는데도 바로 ‘참’이라는 말을 붙여 사용됐다.

숲속의 질이 좋은 나무를 ‘참나무’, 기름을 빻아서 고소한 맛을 풍기며 음식의 맛을 돋구는 ‘참깨’이듯이, 최고의 새는 ‘참새’가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참새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초가집이나 기와집 처마 밑, 그리고 덤불에 둥지를 틀고 새끼를 치는 참새는 시멘트로 치장한 단단한 벽과 아파트가 대부분인 도시화의 물결로 인해 최근에는 둥지를 틀만한 환경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변에서 가장 친근하게 볼 수 있었던 참새는 독수리나 까마귀와 같이 용맹함과 민족의 기상을 알리는 역할과는 달리, 그 크기에 맞게 소박한 정을 나눌 수 있는 새였다.

 
꿈 해몽가들은 참새가 떼를 지어 나는 것을 보면 자신이 통솔하는 무리가 잘 따라 주거나 작품을 많이 발표하게 된다고 하기도 하며, 참새가 방안으로 날아들거나 품에 안기는 꿈은 평범한 여자아이를 출산하게 된다고 했다.

또, 참새 떼가 무리 지어 모여 있는 꿈은 재물을 얻어 부자가 된다고 한 것을 보면 작은 몸매에 부지런함을 얘기한 것이 아닌가 한다.

주변에 부지런한 사람을 비유해서도 ‘참새처럼 부지런하다’는 말을 하기도 한다.

 
참새는 14cm 정도의 아주 작은 새이다. 특별히 예쁘지도 않고 작은 새일 뿐이지만, 참새는 한곳에 정착하는 습성을 가졌다.

많은 새들이 계절에 따라 지구의 남쪽과 북쪽, 혹은 동서로 이동하여 번식을 하고 먹이를 찾아 여행을 떠나지만 참새는 자기가 태어난 곳이 싫으나 좋으나 한곳에서, 따뜻한 봄날에서부터 추운 겨울까지 참새는 항상 우리들 곁에서 같이 살고 있다.

참새의 평균 수명은 3년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의 수명으로 치면 짧은 3년이지만 우리의 곁은 떠나지 않고 미운정 고운정을 함께 나누며 친근한 삶을 보내는 새인 것이다.

봄이 다가오는 이 계절에 어디선가 번식을 준비하고 있을 참새들이 이번에는 좋은 환경에서 번식 성공하여 사계절 내내 우리와 함께 하기를 기대해 본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민 생명 지킨다”제주도, 자살예방 대책 가동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살률 증가에 대응해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는 등 도 차원의 맞춤형 예방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제주지역 자살사망자는 232명,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3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주도는 자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업회의 개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중심의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현장에서 활동하는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을 확대하고 자살위기 대응 시스템도 개선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위험군은 집중관리한다. 생명사랑 실천가게 운영과 정신응급 대응체계 강화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의 자살 급증지역 컨설팅 강화 방침에 맞춰 제주도도 지역별 자살 현황을 정기 점검하고 급증 지역은 원인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자살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