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연재 1부] 2년만에 내 눈앞에 나타난 물꿩

2년 전 번식에 실패한 물꿩을 같은 장소에서 보다.

<?=$raw["box_title"]?>
이슈제주는 조류사진가 지남준 통신원의 물꿩의 번식에 대한 이야기를 연재로 게재합니다.

첫번째 이야기는 지난 2004년 번식에 실패한 이야기와 이번에 성공한 물꿩 한쌍이 제주에서 알을 낳기 전까지이며

두번째 이야기는 알을 낳고 부화하기 전까지의 어미새의 지극 정성으로 품는 과정을,

세번째 이야기는 부화하고 나서 이소(둥지를 떠나는 것)과정과 어린새의 성장과정에서 깃의 변화 등을

사진과 지남준 통신원의 관찰 일지를 담습니다.
 
2년전 번식과정을 놓친 물꿩이 내눈앞에 나타났다.

물꿩은 우리나라에서는 미조로 알려진 아열대조류 '물꿩(학명 Hydrophasianus chirurgus)'이다. 물꿩은 주로 인도, 중국 양쯔강 부근,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93년 경남 주남저수지에서 처음 관찰된 뒤 98년 8월 당시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리에서 조류사진가 김기삼씨가 처음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조류사진에 관심이 많은 나는 이 시기가 돼면 으래 한경면 용수로 향한다. 아직도 미련이 남아서다.

지난 2006년 7월 2일, 여느때와 마찬가지로 장비들을 챙기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한경면 용수저수지를 돌아 봤다.

내눈이 또 의심하는 순간. 2년전 보았던 장소에 다시 물꿩 두마리가 와 있는게 아닌가. 떠나지 말고 눌러 앉았으면 하는 바램에 촬영도 몇컷 하지 않은채 조용히 빠져 나왔다. 같은 장소에 두 번째니 이런 경우가 또 있을까?

갑자기 2년전 기억이 난다.

 
2004년 7월 4일 오전. 여는 주말과 마찬가지로 일주일에 하루, 일요일 하루가 나에게 주어진 촬영의 시간. 어제 토요일에는 동쪽을 다녀왔으니 오늘은 지난번 봐 두었던 논병아리 둥지를 촬영할 목적으로 서쪽으로 향했다.

날씨는 태풍이 올라오는 관계로 흐리고 바람이 거세다. 하지만 태풍에 밀려온(?) 새들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헛일 삼아 기대반으로 나가 보기로 했다.

사실 비가 엄청 오는 날 촬영을 나가 희귀한 새를 촬영한 경험이 있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한 시간을 운전하고 도착한 나만의 장소(?)에는... '아~ 이일을 어쩐다', 지난주에 논병아리가 알을 품고 있었는데 녀석들이 모두 없어졌다. '어디로 갔을까?', '이소했나?', '혹시 뱀에게 먹힌건 아닐까?'. 너무나 궁금해 저수지 물만 30분, 1시간 쳐다봐도 논병아리는 어디에도 찾을 수가 없었다. '바람이 세어서 알이 물속으로...?'

 
길옆 조그만 습지가 있어 차의 방향을 바꿔 그곳으로 향했으나 끝까지 가니 막다른 길이었다. 다시 차를 돌리자 갑자기 비바람 사이로 휘리릭 나오는 것이 눈에 띄어 살펴보니 '아! 물꿩!'

2003년 9월에 잠깐 보았던 그 물꿩이다. 그것도 두 마리씩이나 보여 가슴이 쿵덩거리며 진정이 되지 않는다.

카메라를 들고 정신없이 촬영을 시작 했다. 확인할 겨를도 없이 촬영을 하는데 갑자기 카메라가 말을 듣지 않는다. 순간 손에 땀이나기 시작했다. '이 중요한 시간에...'. 다행히 카메라 고장이 아니었고 너무 흥분해 1G 메모리카드에 가득 차도록 촬영해 버린 것이었다.

 
마음을 진정 시켜 이제 여유롭게(?) 관찰을 하며 촬영을 했다. 물꿩, 무언가를 먹으려는줄 알았는데 그게 쵸코렛색의 알이었다. 작은 주둥이로 알을 물고 이동하려는 것이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물꿩은 둥지를 보수하거나 외부로부터 위협이 있을때는 알을 물고 이동도 한다고 한다.

비가 많이 와 마름(잎이 마름모꼴이라)위에 둥지를 틀고 알을 하나 낳은것이 물에 잠길까봐 이동 하려는 것이었다. 마름위를 성큼성큼 걸어다니기도 하고, 마름위에 납작 엎드려 경계를 하다가 벌쩍뛰며 먹이를 먹다가 다시 알을 물어보려고도 하지만 제대로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 몇 번 관찰 되지 않은 새가 제주에서 번식을 하고 있다니 너무 흥분이 됐다.

벌써 촬영을 시작한지 1시간이나 됐다. 웬일인지 별로 경계를 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지만 너무 오래 있으면 방해가 될까봐 조용히 빠져나왔다. 내일 다시 오고 싶지만 직장을 포기 할 수도 없어, 다음을 기약하며 오늘은 물러나야 했다.

월요일. 너무나 화창한 날씨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결국 그후로 끝내 모습을 확인 할 수가 없었다.

 
오늘(2006년 7월 2일) 2년전 번식에 나섰던 물꿩을 다시 보게 돼 너무도 기뻣고 이번에는 번식을 시도해 꼭 성공 했으면 하는 기대감으로 가득했다.

월요일 출근. 온통 내 눈에는 물꿩만이 아른 거려 혼자 웃는데 직원들이 물어 본다. 좋은일 있냐고. "물론!"

하루가 너무 길다. 빨리 주말이 왔으면 소풍을 앞둔 초등학생이 된 기분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안전한 민원실’위한 현장 대응 … 서귀포시, 특이민원 모의훈련
서귀포시는 지난 5월 20일 시청 종합민원실에서 서귀포경찰서와 합동으로 특이민원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번 훈련은 종합민원실 직원, 청원경찰과 서귀포경찰서 중동지구대가 참여한 가운데, 민원인의 폭언·폭행 등 위법행위 발생 상황을 가정해 민원담당 공무원의 보호와 현장 대응능력 강화를 목표로 진행됐다. 훈련은 실제 발생 가능한 상황을 바탕으로, ▲폭언 민원인 발생 → ▲진정 요청 및 사전 고지 후 녹음 실시 → ▲청원경찰 호출 → ▲피해 공무원 보호 및 주변 민원인 대피 → ▲경찰 출동 및 현장 인계 순으로 이루어졌다. 서귀포시는 이번 훈련을 계기로, 현행 특이민원 대응 매뉴얼을 재점검하고, 정기적인 모의훈련과 교육을 통해 민원 현장의 위기 대응 체계를 체계화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오는 6월 중에는 각 읍면동에도 비상대응반을 편성해 자체 모의훈련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예정으로, 전 행정기관 차원의 대응 역량을 균형 있게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정기적인 훈련을 통해 공무원을 위협하는 민원인의 위법행위에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하고, 모든 시민이 안심하고 방문할 수 있는 안전한 민원실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