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연재 1부] 2년만에 내 눈앞에 나타난 물꿩

2년 전 번식에 실패한 물꿩을 같은 장소에서 보다.

<?=$raw["box_title"]?>
이슈제주는 조류사진가 지남준 통신원의 물꿩의 번식에 대한 이야기를 연재로 게재합니다.

첫번째 이야기는 지난 2004년 번식에 실패한 이야기와 이번에 성공한 물꿩 한쌍이 제주에서 알을 낳기 전까지이며

두번째 이야기는 알을 낳고 부화하기 전까지의 어미새의 지극 정성으로 품는 과정을,

세번째 이야기는 부화하고 나서 이소(둥지를 떠나는 것)과정과 어린새의 성장과정에서 깃의 변화 등을

사진과 지남준 통신원의 관찰 일지를 담습니다.
 
2년전 번식과정을 놓친 물꿩이 내눈앞에 나타났다.

물꿩은 우리나라에서는 미조로 알려진 아열대조류 '물꿩(학명 Hydrophasianus chirurgus)'이다. 물꿩은 주로 인도, 중국 양쯔강 부근,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93년 경남 주남저수지에서 처음 관찰된 뒤 98년 8월 당시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리에서 조류사진가 김기삼씨가 처음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조류사진에 관심이 많은 나는 이 시기가 돼면 으래 한경면 용수로 향한다. 아직도 미련이 남아서다.

지난 2006년 7월 2일, 여느때와 마찬가지로 장비들을 챙기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한경면 용수저수지를 돌아 봤다.

내눈이 또 의심하는 순간. 2년전 보았던 장소에 다시 물꿩 두마리가 와 있는게 아닌가. 떠나지 말고 눌러 앉았으면 하는 바램에 촬영도 몇컷 하지 않은채 조용히 빠져 나왔다. 같은 장소에 두 번째니 이런 경우가 또 있을까?

갑자기 2년전 기억이 난다.

 
2004년 7월 4일 오전. 여는 주말과 마찬가지로 일주일에 하루, 일요일 하루가 나에게 주어진 촬영의 시간. 어제 토요일에는 동쪽을 다녀왔으니 오늘은 지난번 봐 두었던 논병아리 둥지를 촬영할 목적으로 서쪽으로 향했다.

날씨는 태풍이 올라오는 관계로 흐리고 바람이 거세다. 하지만 태풍에 밀려온(?) 새들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헛일 삼아 기대반으로 나가 보기로 했다.

사실 비가 엄청 오는 날 촬영을 나가 희귀한 새를 촬영한 경험이 있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한 시간을 운전하고 도착한 나만의 장소(?)에는... '아~ 이일을 어쩐다', 지난주에 논병아리가 알을 품고 있었는데 녀석들이 모두 없어졌다. '어디로 갔을까?', '이소했나?', '혹시 뱀에게 먹힌건 아닐까?'. 너무나 궁금해 저수지 물만 30분, 1시간 쳐다봐도 논병아리는 어디에도 찾을 수가 없었다. '바람이 세어서 알이 물속으로...?'

 
길옆 조그만 습지가 있어 차의 방향을 바꿔 그곳으로 향했으나 끝까지 가니 막다른 길이었다. 다시 차를 돌리자 갑자기 비바람 사이로 휘리릭 나오는 것이 눈에 띄어 살펴보니 '아! 물꿩!'

2003년 9월에 잠깐 보았던 그 물꿩이다. 그것도 두 마리씩이나 보여 가슴이 쿵덩거리며 진정이 되지 않는다.

카메라를 들고 정신없이 촬영을 시작 했다. 확인할 겨를도 없이 촬영을 하는데 갑자기 카메라가 말을 듣지 않는다. 순간 손에 땀이나기 시작했다. '이 중요한 시간에...'. 다행히 카메라 고장이 아니었고 너무 흥분해 1G 메모리카드에 가득 차도록 촬영해 버린 것이었다.

 
마음을 진정 시켜 이제 여유롭게(?) 관찰을 하며 촬영을 했다. 물꿩, 무언가를 먹으려는줄 알았는데 그게 쵸코렛색의 알이었다. 작은 주둥이로 알을 물고 이동하려는 것이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물꿩은 둥지를 보수하거나 외부로부터 위협이 있을때는 알을 물고 이동도 한다고 한다.

비가 많이 와 마름(잎이 마름모꼴이라)위에 둥지를 틀고 알을 하나 낳은것이 물에 잠길까봐 이동 하려는 것이었다. 마름위를 성큼성큼 걸어다니기도 하고, 마름위에 납작 엎드려 경계를 하다가 벌쩍뛰며 먹이를 먹다가 다시 알을 물어보려고도 하지만 제대로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 몇 번 관찰 되지 않은 새가 제주에서 번식을 하고 있다니 너무 흥분이 됐다.

벌써 촬영을 시작한지 1시간이나 됐다. 웬일인지 별로 경계를 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지만 너무 오래 있으면 방해가 될까봐 조용히 빠져나왔다. 내일 다시 오고 싶지만 직장을 포기 할 수도 없어, 다음을 기약하며 오늘은 물러나야 했다.

월요일. 너무나 화창한 날씨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결국 그후로 끝내 모습을 확인 할 수가 없었다.

 
오늘(2006년 7월 2일) 2년전 번식에 나섰던 물꿩을 다시 보게 돼 너무도 기뻣고 이번에는 번식을 시도해 꼭 성공 했으면 하는 기대감으로 가득했다.

월요일 출근. 온통 내 눈에는 물꿩만이 아른 거려 혼자 웃는데 직원들이 물어 본다. 좋은일 있냐고. "물론!"

하루가 너무 길다. 빨리 주말이 왔으면 소풍을 앞둔 초등학생이 된 기분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보건소,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 맞아 합동캠페인
서귀포보건소에서는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을 기념(매년 6월 26일)하여 6월 28일(토) 오후 2시부터 서귀포시 일호광장 일대에서‘불법 마약류 퇴치 및 오남용 예방’을 위한 합동 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도약사회서귀포시지부와 서귀포 3개 보건소 25여 명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마약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현장에서는 ▲마약류 중독 예방관련 O,X 퀴즈 ▲마약류 관련 설문조사 ▲피켓 등을 활용하여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올레시장까지 이동하며 거기 캠페인도 이어나갔다. 특히 올레시장 내에서는 불법 마약류 퇴치와 함께 ‘민생경제 살리기’홍보도 동시에 실시하여 시민들과 상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 6. 23.(월)부터 6. 27.(금)까지 5일간 약사회와 협업하여 서귀포시 청사 내에 ‘마약의 위험성 경고’ 및 ‘불법마약류 퇴치’를 주제로 한 포스터를 전시, 청사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다. 현승호 서귀포보건소장은 “이번 행사는 약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에게 마약류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실질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