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관광객 580만명 뒷심을 모으자

 
우리를 지켜주는 한라 영산은 하얀 눈꽃을 보듬어 안고 제주를 찾아오는 손님들에게 청명하고 희망의 기운을 가득가득 안겨주고 있습니다.

아침에 조간을 펼쳐 들면!
아침 6시에 TV 채널을 틀면!
첫 번째 나오는 소리는 ○○나라가 경기부양을 위해 얼마를 투입하기로 했다거나 어느 나라 △△분야 회사가 도산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한국의 외환보유도 2005억불로 줄고 있어 지금 당장 안심은 되나 불안 징후가 보인다는 등의 어두운 그림자입니다. 그러다보니 육지 지방에 잠깐 나가보면 날씨도 추운데 가슴까지 꽁꽁 얼어붙는 듯 경제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가 봇물을 이루며 겨울철 우리의 가슴을 동여 메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제주 관광 뛰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어울리는가 할 상 싶지만 우리 제주특별자치도민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지 않으면 더 어려워 질 수 있다 라는 절박함을 바탕으로 하기에 관광 다시 뛰자는 주장을 펴는 것입니다.

우리 제주는 겨울철 경제동인이 감귤과 월동채소, 관광, 건설경기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나는 관광산업이 제주경제의 버팀목이어야 한다고 늘상 주장하고 있습니다. 제주 경제를 떠받치는 가장 큰 자산은 관광산업입니다. 올 연초부터 입에 거품을 물만큼 달려오고 있으며, 지금 막바지에 몰려 오늘, 내일 1만명 수준의 관광객이 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 희망은 매일 13천명이 넘어야만 합니다.

우리가 연초 단단한 각오로 세운 목표는 580만명이며, 관광소득은 2조5천억이 손에 잡히게 다가 왔습니다. 많은 분들이 가능하다고도 합니다. 그러나 나는 왜 자꾸 위기감이 엄습할까.
지금 이대로 가면 쉽지 않다는 통계 추세가 나를 가만 두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 관광인 모든 분들에게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마지막 뒷심을 발휘해서 5년 만에 다시 목표 위에 우뚝 서고 희망찬 2009년을 맞이합시다.” 라고 목청껏, 마음을 다해 호소합니다. 이 달 목표는 442천명이고 4일 현재 44천명입니다. 신경제 혁명을 부르짖고 10만명을 추가해서 목표마저 상향했던 그 열정, 그때 그 초심으로 돌아가서 마지막 뒷심을 발휘해야만 합니다.

이제 우리 조금만 노력을 더하여 기필코 그 목표에 다다름으로써 그래서 ‘할 수 있다(We can do it)’라는 자신감을 쟁취합시다. 오늘도 관광 최일선에서 열심히 노력하시는 모든 분들께 머리 숙여 깊이 감사드립니다.

제주특별자치도 문화관광교통국장 고 경 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시, 공중이용시설 점검으로 중대시민재해 예방
제주시는 공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제주종합경기장을 비롯한 25개소에 대해 안전보건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중대시민재해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중이용시설 등의 관리상의 결함으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이번 점검은 제주시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 185개소 중 체육시설 등 주요 시설 25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주요 점검 사항은 ▲안전보건 관리체계, ▲공중이용객 측면의 유해·위험 요인, ▲재해 발생 시 비상대응체계 등이다. 점검 결과, 확인된 유해·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개선 조치를 요청하고 안전보건 관리 및 비상대응 체계 등 보완이 필요한 경우 시정을 요구하여 개선 결과까지 확인할 계획이다. 제주시는 매년 공중이용시설의 현황을 전수조사하여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을 지정하고 있으며, 올해 지정 시설은 도로·교량, 체육시설 등 185개소다. 아울러,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정밀안전진단 등 시설물 안전 점검의 누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기별․관리부서별 자체 점검도 실시해 오고 있다. 박기완 안전총괄과장은 “철저한 시설 관리로 시민과 관광객의 안전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