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제주도 소비쿠폰 1241억 지급 완료…71% 사용

제주특별자치도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총 1,241억 원을 지급했다고 17일 밝혔다.

 

 

17 0시 기준 지급대상 661,200(기준일 618) 634,851(96%)이 신청을 마쳤으며, 금액으로는 1,241억 원이 지급됐다.

 

 

특히 지류를 제외하고 지난 한 달여 동안 지급금액의 71%841억 원이 사용돼 소비쿠폰의 목적인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매출 증대에 실질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소비쿠폰 지급수단별 신청 현황을 보면 신용·체크카드 신청이 386,621으로 60.9%, 탐나는전(카드·지류)248,23039.1%를 차지했다. 탐나는전 신청비율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소비쿠폰 시행 2주 동안 지급대상일(618) 자격변동으로 인한 이의신청 4,037건이 접수됐으며 4,012건이 처리가 완료됐다.

 

 

주요 이의신청 유형은 해외체류 후 귀국, 재외국민·외국인, 출생에 따른 신청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지난 728일부터 주소지 읍면동 신청을 통해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찾아가는 신청은 고령자와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주소지 읍면동에서 직접 대상자를 방문해 신청서를 접수하고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찾아가는 신청은 지난 14일 기준 총 1,128명이 신청했다.

 

제주도는 소비쿠폰 온라인 신청이나 읍면동 방문이 어려운 도민들의 적극적인 신청을 당부했다.

 

 

소비쿠폰 1차 신청은 912일까지이며, 사용기한은 1130까지다. 사용기한 내 미사용 시 소비쿠폰 잔액은 자동 소멸된다.

 

 

특히, 지류로 소비쿠폰을 지급받을 도민들도 사용기한인 1130일까지 반드시 사용해 줄 것을 강조했다.

 

 

1차 신청기한이 지나면 1차분 소비쿠폰을 신청할 수 없다. 신청기한까지 한 달도 남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소비쿠폰을 신청하지 않은 도민들은 서둘러 신청할 것을 당부했다.

 

 

김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도민 96%가 소비쿠폰 신청을 완료했으나 아직 3만여 명의 도민이 신청하지 않았다“1신청기한이 지나면 1차분 소비쿠폰은 지급받을 수 없으므로 꼭 신청해달라 말했다.

 

 

소비쿠폰 정책 시행(721) 이후 탐나는전 가맹점 총 1,000개소(814일 기준)가 신규 가맹 신청해 소비쿠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 제주도는 앞으로도 가맹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사용 편의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연습을 실전처럼’ 제주도, 2025년 을지연습 돌입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도내 전역에서 2025년 을지연습을 실시한다. 을지연습은 전시ㆍ사변 등 국가비상사태 발생 시 국가안보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비상대비계획을 점검ㆍ보완하고, 전시 임무 수행 절차를 숙달하기 위해 연 1회 전국 단위로 실시하는 비상대비연습이다. 이번 연습은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위기상황을 가정해 을지연습 전 실시하는 위기관리연습(CMX)과 전쟁 발발 이후를 상정한 국가총력전연습(을지연습)으로 나눠 진행된다. 제주도는 연습 1일차인 18일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불시 비상소집을 실시했으며, 행정조직을 전시조직으로 전환하고 전시종합상황실을 구성·운영했다. 이번 을지연습의 주요 목표는 국가총력전 수행태세 확립과 제주지역 안전보장을 위한 최상의 비상대비태세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연습은 ‘변화하는 안보상황에 대한 조치능력 배양 및 안보의식 고취’에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제주도는 비상대비태세 능력 강화를 위해 복합상황을 가정한 다양한 사건계획을 처리하는 도상연습(메시지 처리), 기관장이 주재해 현안과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전시 현안과제 토의, 인력·물자·장비 동원 등 유관기관과의 실제 합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