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민생회복 소비쿠폰 일주일에 73.4%

27일 24시 기준 48만 5348명 신청

제주특별자치도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률이 73.4% 달해 도민들의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탐나는전 신청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10%포인트가량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는 27일 자정 기준 지급대상 661,200(기준일 618) 485,348명이 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급수단별 신청 현황을 살펴보면 신용·체크카드 신청이 316,414명으로 65.2%, 탐나는전(카드·지류)168,934(34.8%)로 나타났다.

 

탐나는전 신청비율은 전국 평균 26%(25일 기준)보다 높은 수치다.

 

소비쿠폰 시행 첫 주 동안 제주도는 신청 과정의 불편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읍면동 민생대응 및 이의신청 전담팀을 구성·운영해 적극적인 안내에 힘썼다.

 

주요 민원사항은 미성년자 자녀 신청방법, 요양병원 입소자 등 대리신청, 소비쿠폰 사용처 문의 등이었다.

 

이의신청은 출생, 해외체류 후 귀국, 자녀 부양관계 조정 등의 사유로 총 800건이 접수됐으며, 455건이 처리가 완료됐다.

 

나머지 345건은 심사 중으로 조속히 처리할 예정이다.

 

28일부터는 주소지 읍면동 신청을 통해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가 시작된다.

 

주소지 읍면동에서 직접 대상자를 방문해 신청서를 접수하고 지급하는 서비스로, 고령자와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1인 가구가 대상이다.

 

문의는 주소지 읍면동으로 하면 된다.

 

제주도는 소비쿠폰 지류형이 기존 탐나는전과 구분되지 않고 사용기한이 명시되지 않았던 문제를 개선했다.

 

28일부터 지급되는 소비쿠폰 지류형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사용기한을 표기했다.

 

소비쿠폰은 연매출 30억 원 이상 업체와 하나로마트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제주도는 소비쿠폰 정책의 취지를 고려해 탐나는전 지류 사용자에게 대형마트나 하나로마트 등 사용을 자제해 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소비쿠폰 1차 신청은 912일까지이며, 사용기한은 1130까지다.

 

사용기한 내 미사용 시 소비쿠폰 잔액은 자동 소멸된다.

 

이번 소비쿠폰 지급으로 탐나는전 사용처도 크게 늘었다.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7일 동안 탐나는전 가맹점 476건이 신규 신청됐다.

 

제주도는 소비쿠폰 사용처 확대와 도민들의 편의를 위해 가맹점 수를 지속적으로 늘릴 예정으로, 소상공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시 관내 전 개소 공중화장실 범죄예방 특별점검
서귀포시는 최근 도내 모 카폐 화장실에서 발생한 불법촬영 범죄사건을 계기로 관내 공중화실 403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범죄예방을 위한 공중화장실 긴급 특별점검 및 후속조치를 지난 8월 8일까지 모두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긴급 특별점검은 사건이 언론에 알려진 7월 16일 이후, 7월 18일부터 7월 25일까지 신속히 진행됐으며 불법촬영기기 설치 여부를 탐지하기 위해서 전파탐지기와 렌즈탐지기를 활용하여 은닉 가능성이 높은 환풍구, 쓰레기통, 화장실 칸 하부 등을 집중 점검하고 비상벨 정상 작동 여부 및 화장실 칸막이문 잠금장치를 비롯한 시설물 파손 여부 등 안전 전반에 대해 꼼꼼이 확인하였다. 점검결과, 불법촬영기기는 단 한건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이렌이 울리지 않거나 경관등이 작동하지 않는 등 작동 이상이 확인된 비상벨에 대해서는 비상벨 리스 및 관리업체에 고장내역을 통보하였으며, 칸막이 등 보수나 개선이 필요한 시설물은 전문업체를 선정하고 수리를 요청하여 후속 조치를 완료했다. 진은숙 서귀포시 기후환경과장은 “앞으로도 정기적인 불법촬영 탐지와 비상벨을 비롯한 범죄 예방시설물 점검, 화장실 편의환경 개선 등 공중화장실 관리를 강화하여 서귀포시를 방문한 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