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제주사랑의열매 희망2025나눔캠페인

62일간 43억 2천만원 목표, 2일 도청서 출범식



도내 어려운 이웃들을 돕기 위한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회장 강지언‧이하 제주사랑의열매)의 연말연시 집중모금캠페인 ‘희망2025나눔캠페인’이 내달 1일부터 시작된다.

오는 12월 1일부터 2025년 1월 31일까지 62일간 진행되는 이번 희망2025나눔캠페인은 나눔 목표액(모금 목표액)은 43억 2천만 원이다. 62일간의 캠페인 기간 동안 나눔목표액의 1%인 4,320만원이 모일 때마다 사랑의 온도탑의 나눔 온도가 1도씩 올라가게 된다.

제주사랑의열매 강지언 회장은 “어려워진 경기로 어려움을 겪는 이웃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며 “희망 나눔 온도가 100도를 넘어 더 많은 도내 이웃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도록 희망2025나눔캠페인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희망2025나눔캠페인 슬로건은 ‘기부로 나를 가치있게, 기부로 제주를 가치있게!’로 나와 지역사회를 모두 위하는 기부의 효능감을 강조했다. 

사랑의열매는 1998년 창립 이후 매년 연말연시 집중모금캠페인을 전개하고 국민적인 모금운동을 통해 전국의 복지사각지대를 지원해왔다. 캠페인을 통해 모여진 성금은 전액 도내 취약계층의 ▲신 사회문제 대응지원(고립 은둔 청장년 사회 이슈 및 에너지 빈곤 가구 지원) ▲사회안전망 지원(복지사각지대 생활 안정을 위한 생계·주거·의료비 맞춤 지원) ▲지역사회 돌봄 지원(저출산 극복, 경계선 지능인 맞춤형 돌봄) ▲ 교육 및 자립 역량 강화 지원(기회의 격차 완화 및 취약계층 경제적 자립 지원) 4대 분야를 중점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제주사랑의열매는 12월 2일 오후 2시 30분 제주특별자치도청 4층 탐라홀에서 캠페인 출범식과 함께 ‘사랑의 온도탑’ 제막행사를 가진다. 이날은 도내 주요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온도탑 제막 퍼포먼스를 진행하며 캠페인의 성황을 기원할 계획이다.

캠페인기간 동안 ▶ARS전화기부(060-700-1212/건당 3,000원), ▶사랑의열매 홈페이지(신용카드, 계좌이체, 카드 포인트, 간편결제)와 QR코드를 통해 기부에 참여할 수 있으며 ▶CBS, JIBS, KBS제주, KCTV, MBC, TBN을 통한 방송모금도 진행된다. 기부상담은 제주사랑의열매(064-755-9810)로 전화하면 된다. 

한편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 말까지 진행된 희망2024나눔캠페인은 43억 2,000만 원을 목표로 최종 44억 9,700만 원을 모금하며 나눔온도 104.1도를 달성한 바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보건소, 8월 한 달간 미용 목적 불법 광고 집중 점검
제주보건소는 오는 8월 1일부터 29일까지 미용 목적의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대상으로 ‘온라인 불법 의료 광고’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여름철 방학과 휴가 시즌을 맞아 미용 시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SNS·블로그·인터넷 카페 등 온라인상에서 전파력이 높은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미용·성형 관련 정보는 소비자가 커뮤니티 후기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고, 입소문을 가장한 바이럴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소비자 혼란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주요 점검 항목은 ▲자발적인 후기를 가장한 체험담 형태의 광고, ▲비급여 진료비의 과도한 할인·면제 광고, ▲객관적 근거 없이 치료효과를 과장하는 광고, ▲불법 소개·알선·유인 의심 사례 등이다. 점검 과정에서 ▲체험단·협찬 치료경험담, ▲비급여 과다 할인 이벤트, ▲환자 유인 등의 의료법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정 조치하고, 시정이 되지 않거나 위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해당 의료기관 또는 비의료인에 대해 고발 등 강력한 조치를 병행할 방침이다. 제주보건소는 올해 상반기 총 116건의 의료법 위반 의심 광고를 점검해 이 중 86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