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제주농부의 정성과 진심을 담아, 집에서 즐기는 감귤요리

주감귤의 본격 출하와 함께 제주의 지역색이 돋보이는 감귤을 활용한 가공기술 교육과정에 교육생들이 만족도 91%의 높은 호응을 보였다.



 

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서귀포농업기술센터(소장 문선희)는  11월 이윤선 제주음식연구가(제주일탁 대표)를 초빙해 교육34명을 대상으로 감귤 활용 가공기술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정은 감귤 가공 농촌융복합산업 제품 홍보 및 지도 제고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감귤요리 레시피 제공으로 식재료로서 활용 가능한 정보를 공유해 다양한 소비법을 전파하기 위해 마련됐다.

 

촌융복합사업장 제품 메뉴는 GAP 및 무농약 인증 꼬마귤 만든 코삿(대표 최동우)의 미니감귤치즈케이크 동 브랜드의 감귤껍질 분말로 반죽한 감귤쉬폰케이크 태반의땅제주(대표 김명수)의 한라봉청과 까망베르 치즈가 들어간 빠네치즈구이 아꼬(대표 김해선)의 감귤 꽃과 껍질 그리고 허브로 블렌딩해 우려낸 차로 만든 냉침귤피차다.



 

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감귤요리 메뉴는 물과 설탕을 넣고 졸여 만든 통귤설탕조림체다치즈와 호두를 넣고 감귤껍질로 말아 굳힌 통감귤말이설탕에 졸인 감귤껍질에 다시 한 번 설탕을 묻혀 쫄깃하면서 감귤껍질 향이 일품인 크리스피 귤피.

 

교육 설문조사 결과 만족도 91%로 큰 호응을 얻었다.

 

교육생들은 제주의 특색이 녹아있는 감귤제품들을 소개받을 수 있었으며, 생과로만 즐기던 감귤을 케이크, 차 등으로 직접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배워서 좋았다고 평가했다.

 

강사로 나선 이윤 대표는 감귤에 빠져 다양한 시도를 하며 모은 레시피를 나누게 되어서 기쁘다제주 일상이 녹아있는 다양한 감귤 제품들이 여러 식탁에 놓이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김정현 농촌지도사는 도내 농산물 가공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업체는 116개로 각 사업체의 제품이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10개가 넘는다제주농부의 정성과 진심으로 만든 제품이 많은 소비자에게 전해져 매출 증대를 통한 경영체 안정과 가치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심과 애정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는 내년부터 관내 농산물 가공 농촌융복합산업 사업장의 제품 발굴 및 유통판로 기반 마련을 위한 품평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과거와 비교해 다양해진 품목과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패키지 디자인으로 유통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미흡한 사항을 보완하고 사업 활성화 및 소득 창출 구조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