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0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제주신화월드, 내 마음대로 디자인하는 럭셔리 웨딩

사회적거리두기 종료와 봄철 웨딩 시즌이 맞물리면서 이색적인 웨딩 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프라이빗하고 력셔리한 호텔 웨딩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의 복합리조트 제주신화월드가 고객들의 개별 니즈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웨딩 서비스를 제공해 눈길을 끌고 있다.

 

제주신화월드는 여의도 면적의 약 80%에 해당되는 250m2 규모로 조성된 넓은 부지와 매력적인 시설들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어 대규모 웨딩부터 스몰웨딩까지 모든 유형의 식을 수용할 수 있다.



최대 800명까지 수용할 수 있는 제주도 내 최대 규모의 다목적 연회장은 물론, 아늑한 야외 정원과 계절별로 꽃밭이 탈바꿈하는 신화가든, 대형 노천 극장이 마련된 신화테마파크 등 고객들이 원하는 웨딩 테마에 맞춰 이용할 수 있는 식장의 선택 폭이 넓다.

 

뿐만 아니라, 제약사항이 많은 기존 예식장과 달리 제주신화월드는 공간을 자유자재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일례로, 신랑신부가 부부로서 하객들 앞에서 첫 춤을 선보이는 퍼스트 댄스가 인기 행사로 떠오르고 있는데, 무대 설치가 불가능한 예식장과는 달리 제주신화월드에서는 무대 설치뿐만 아니라, 조명, 음악, 영상까지도 주인공들이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주신화월드는 고객들 니즈에 맞춰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탄한 제휴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제주신화월드는 각양각색의 테마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수십 개의 웨딩 전문 업체들과 제휴 되어 있어 꽃 장식 하나부터 웨딩 아치 모양까지 고객들의 세세한 요청사항까지도 실현시키고 있다.


 

또한, 제주신화월드는 4개의 5성급 호텔과 콘도 브랜드, 최고의 케이터링 서비스, 30개 이상의 F&B 매장 등 하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채로운 시설과 함께 제주 최대 규모의 워터파크 및 테마파크, 미디어 파사드 전시, 락 볼링장, 엔터테인먼트 스포츠펍을 포함한 즐길거리도 다양하게 갖추고 있어 데스티네이션 웨딩으로도 안성맞춤이다.

 

제주신화월드 관계자는 정형화된 웨딩 상품에서 벗어나 유니크한 웨딩 장소를 찾는 고객들의 문의가 지난 1년 사이에 체감할 정도로 늘어나고 있다특히, 데스티네이션 웨딩을 계획하고 있는 도외 고객들에게는 식장부터 피로연, 객실, 그리고 엔터테인먼트까지 모두 한 곳에서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이 제주신화월드의 차별화된 경쟁력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보건소,‘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실시
제주보건소는 지난 18일 보건교육실에서 ‘2025년 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생물테러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이용해 인명 살상이나 질병 유발을 목적으로 사회 붕괴를 의도하는 테러 행위를 말한다. 현재 법정 생물테러감염병은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마버그열,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두창, 야토병 총 8종이 지정돼 있다. 이번 훈련은 생물테러(의심) 사건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과 초동대응요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훈련에는 도내 6개 보건소를 비롯해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관계자 60여 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기관별 역할을 숙지하는 이론교육과 함께 ▲생물테러 대응절차 실습, ▲개인보호복(Level A·C) 착·탈의, ▲다중탐지키트 사용 및 검체 이송 등 실제 상황을 가정한 실습 훈련을 병행했다. 특히, 제주보건소는 ‘생물테러 현장 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훈련을 진행했으며, 기관별 의견 수렴과 협의를 통해 실제적이고 유기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박주연 감염예방의약과장은 “이번 훈련은 초동대응요원의 현장 대응력과 유관기관 협력체계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