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칼럼)전작권도 없는 주제에 선제공격? '풉'

참 웃긴 인간들이 정치권에서 아무 말 대잔치를 하고 있다.

 

윤석열 국민의 힘 대선후보가 신년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북한 미사일 선제타격론을 들고 나왔다.

 

여권이 한반도를 전쟁터로 만들 셈이냐고 비난에 나서자 이준석 국민의 힘 당 대표가 미사일을 발사하려고 연료를 주입하고 있으면 그럴 수도 있다고 쉴드를 쳤다.

 

그들의 말이 얼마나 어이가 없느냐하면 훈련과 실전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느냐는 거다.

 

예를 들어 이번 북한이 동해에 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 훈련 조짐이 보이면 우리가 미사일이나 다른 전력으로 이를 공격해야 한다는 말인지.

 

또한 미사일 연료 주입은 장거리에 해당한다.

 

북한이 남한에 미사일을 쏠 경우 연료주입이 필요한 미사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윤석열 후보도 막 던지는 셈이고 이준석 대표도 막 받아주는 꼴이다.


 

전시작전권도 없는 주제에 선제공격? 웃기는 소리들 하지마라

 

특히 대한민국은 전쟁을 시작할 권리도 없을뿐더러 적국의 도발에 대한 대응 수위도 미국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

 

연평도 포격 당시 전투기를 띄워 놓고도 백악관의 결정을 기다려야 했다.

 

할 수 있는 것은 포격 원점에 대한 대응 포격 정도.

 

이 또한 과도할 경우 미국이 스톱하면 당장 그만 둬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미국이 가서 물어하면 그 명령을 따라야 하는 것이 대한민국 군대의 현실이다.

 

그래서 노무현 대통령은 전시작전권을 돌려받으려 했다.

 

미국 입장에서는 내주기 싫은 권리이기에 이를 미뤘다.

 

이명박. 박근혜는 작심한 듯 여건이 충족될 경우 고려해 달라고 한발 물러섰고 미국은 이를 빌미로 문재인 대통령의 전작권 반환 요구에 한국의 능력을 시험하겠다고 맞서는 중이다.

 

세상에 어느 나라가 다른 나라의 테스트를 받아가면서 전작권을 스스로 행사한다는 말인가.

 

참으로 통탄스러운 일이다.

 

이 나라의 보수세력은 전작권 반환에 반대한다.

 

진정한 보수라면 앞장서서 이를 돌려달라고 시위를 해도 부족한 판에.

 

윤석열 후보와 이준석 대표에게 묻는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다는 정보가 있을 때, ‘이를 타격할 권리가 있기는 하고?’

 

그렇다면 공격하겠다는 청원을 백악관에 하고 허락이 떨어지면 하겠다고?

 

도대체 일을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 분명히 국민에게 설명해야 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삼다수공장서 2025 을지연습 긴급구조 종합훈련
제주특별자치도는 20일 오후 4시 10분 제주시 조천읍에 위치한 제주삼다수공장에서 ‘2025년 을지연습 병행 긴급구조 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폭발물 및 드론 테러, 화재, 붕괴 등 복합재난상황에 대한 대비태세를 확립하고, 긴급구조 관계기관 간 협력을 통해 통합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 장소는 전시 상황 발생 시 도민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 물자인 먹는 물의 중요성을 고려해 도내 최대 생수 생산지인 제주도개발공사 삼다수공장으로 선정했다. 이곳은 비상시 먹는 물 공급을 담당하는 중점관리업체다. 훈련에는 도내 통합방위기관과 의료기관 등 300여 명의 인력과 장비 50여 대가 동원돼 대규모 민·관·군·경·소방 합동으로 진행됐다. 주요 훈련 내용은 삼다수공장 내 총기 및 폭탄 무장 테러범 진압, 드론 테러에 의한 공장 폭발과 화재 발생 대응, 소방헬기를 활용한 화재 진압, 공장 붕괴로 인한 인명구조 활동 등이었다. 특히 최근 신설된 소방특수대응단이 을지연습 실제훈련에 처음 참여했으며, 소방헬기 ‘한라매’와 119구조견, 119회복지원차량 등이 현장에 투입돼 훈련의 실전성을 더욱 높였다. 또한 재난의료지원팀(DMAT)과 유관기관 종사자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