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서귀포시, 제주유나이티드FC와 함께 찾아가는 축구교실

서귀포시2021 K리그1 시즌 기간에 발맞추어 제주유나이티드FC와 함께 찾아가는 축구교실을 운영하여 프로스포츠의 지역사회 공헌 사업에 협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그동안 서귀포시는 제주유나이티드FC와 함께 축구를 매개로 한 지역사회 공헌에 지속적으로 노력했다. 지난 2017년 축구 캠프를 시작으로 2018년에는 도내 축구클럽을 대상으로 축구 클리닉을 운영하였고, 2019년에는 다문화가정지원센터, 지역아동센터와 연계하여 찾아가는 축구교실을 운영하며 수혜 대상을 점차 확대해 나갔다.

2020년에는 도내 유소년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축구교실(30) 집중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갑작스러운 코로나19 상황에 운영 횟수가 축소(15)되었다.



올해 서귀포시와 제주유나이티드FC는 철저한 방역 조치를 바탕으로 K리그 시즌 동안 축구교실 운영 프로그램과 도내 축구 꿈나무들의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도내 교육기관에 방문하거나 지역 유청소년 기관을 제주유나이티드FC 클럽하우스로 초청하여 학년별, 수준별 축구 트레이닝을 진행할 계획이며, 축구를 꿈꾸는 유청소년들을 제주월드컵경기장과 제주유나이티드FC 클럽하우스에 초청하여 홈경기 관람, 경기장 투어, 응원도구 만들기 등 다채로운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

제주유나이티드FC는 제주도민의 프로구단으로서 제주 4.3의 아픔을 도민과 함께 나눌 계획이며, 도내 쓰레기 발생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캠페인도 전개한다.

4월 전 경기에 선수단 유니폼에 동백꽃 패치를 부착하고, 4월 홈경기 관중 전원에게 동백꽃 마스크를 증정한다. 또한, 도내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고 친환경 제품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NO 플라스틱 캠페인을 전개한다.‘NO 플라스틱 서포터즈를 모집하여 홈경기 시 경기장 내 환경 정화 활동, 쓰레기 줄이기 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서포터즈 모집 관련 자세한 안내는 제주유나이티드FC(064-738-0934)로 문의하면 된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제주를 대표하는 프로스포츠 구단인 제주유나이티드FC가 화려한 골을 바탕으로 승리를 거두어 제주도민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위로할 수 있도록 4월 홈경기 개최 시 많은 도민들이 제주월드컵경기장 방문을 부탁드린.”면서,“서귀포시와 제주유나이티드FC가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제주유나이티드FC가 제주도민의 에너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탐라문화광장 현장회의로 생활안전 대책 집중 점검
제주특별자치도는 16일 탐라문화광장 부근 산지천갤러리에서 ‘생활안전 환경개선 전담팀(TF)’ 제4차 현장회의를 개최하고, 여름철 음주·노숙 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회의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관광객 증가와 야간시간대 음주·소란행위 및 노숙 민원으로 제주시 원도심의 관광 이미지 손상을 막기 위해 마련됐다. 폭염으로 인한 위험과 쓰레기·악취 문제 등 실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서다. 회의에는 제주도 및 제주시 유관부서와 자치경찰단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지역주민들이 느끼는 현장 상황과 함께 노숙인 자활활동을 추진하는 사회복지법인 센터장의 의견도 청취했다. 올 상반기 상습 주취행위자 면담결과와 자치경찰단 주취자 해산조치 분석 등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부서간 협업과제와 향후 추진과제를 논의했다. 새로 추진할 과제로는 △야간 주취로 인한 악취문제로 오전시간대 고압 정밀 세척 △야간 관광객을 위한 야간시간대 환경정비활동 △시민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제주시 보안관 자율방범 순찰활동에 대한 의견이 공유됐다. 기존 과제 중 강화해야 할 부분으로는 △신규 주취자 유입에 따른 합동단속체계 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