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청렴의 시스템화, 서귀포 교통행정과 권민서

청렴의 시스템화

 

서귀포 교통행정과 권민서



 


공무원 면접 시 공직자로서 가장 중요한 덕목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신뢰라고 대답했다. 바람직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아무리 좋은 정책이 만들어져도, 그 정책이 올바르게 집행될 것이라는 국민들의 신뢰 없이는 어떠한 정책도 그 유효성을 발휘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어 신뢰를 쌓는 데 기본은청렴과 공평이라고 했다. 청렴성과 공평성은 신뢰라는 집의 기둥이다.

 

그러면 고신뢰사회 구현을 위한 방안이 무엇이겠냐는 질문에는적절한 시스템 구축이라고 대답했다. 어느 날부터인가 쓰리꾼(‘소매치기의 비표준어)을 만나기 어렵다. 그래서인지 요즘 어린 친구들은 쓰리꾼이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것 같다. 남의 것을 훔치면 안 된다는 도덕의식의 비약적 성장 덕분일까? 그보다는 도처의 CCTV와 첨단화된 금융시스템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무조건 걸리게 되어있다는 인식이 생기게 된 것이다.

 

이미 상당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주어진 권한만큼만 업무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지만, 재량이 큰 업무에 대해서도 공평하게 처리되지 않으면 무조건 걸리게 되어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그래서 약간의 두려움으로 청렴성이 지켜지기 시작하더라도 어느 순간 그런 종류의 비리는 생각지도 못하게 될 날이 오기를 바라본다.

 

특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은 시장에서는 가격 흥정이 가능하지만, 각종 시스템을 구축해 놓은 백화점에서는 가격 흥정이 어렵다. 매니저 권한으로 어느 정도 가능한 것을 안다며 가격 흥정 시도를 해봤자, 시스템적으로 다 막아둬서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한다. 가격을 흥정하려던 쪽도 어쩔 도리가 없다. 덕분에 가격 실랑이를 할 필요가 없다.

 

권한이 커지면 커질수록 안 되는 것은 안 되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할 수 있는 게 없는 사람에겐 청탁을 하지도 않고, 청탁을 받아도 거절하는 데 큰 힘이 들지 않는다. 어쩔 수 없음이 청탁을 하려는 쪽도 청탁을 받으려는 쪽도 힘 빠지게 한다.

 

네가 말해봐. 네 말은 신뢰가 가니까.”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인생 잘 살았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철저하게 짜여진 시스템 속에서 어려운 조작 요구를 받지도 않고, 조작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지 않은 채, 저런 뿌듯한 말을 계속 들으면서 살아가고 싶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섬지역 어린이들 대상 찾아가는 교통안전교육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교통안전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섬지역 어린이들을 위해 ‘섬찾아 삼만리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추진한다. 이번 교육은 우도와 추자도 지역의 초등학생과 병설유치원, 어린이집 원아 등 4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지리적 여건으로 교통안전교육을 받을 기회가 적었던 섬지역 어린이들을 직접 찾아가 현장 중심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안전의식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최근 섬지역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렌트카 등 유입차량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교통약자인 어린이들의 교통사고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자치경찰단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체험 중심의 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이 스스로 교통안전 수칙을 익히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자치경찰관 2명이 진행하는 이번 교육은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한 실감형 교통상황 체험, 모형 횡단보도에서의 실전 통행방법 연습, 직접 안전용품 만들기 등 참여형 콘텐츠로 구성돼 어린이들의 자발적 학습 참여를 유도한다. 오충익 자치경찰단장은 “제주의 모든 어린이는 어디에 살든 동등한 안전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며 “이번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위험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안전 시민으로 성장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