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십수년 동안 감귤 구조조정에 막대한 재정을 쏟아 붓고 있다.

감귤가공공장 건립을 비롯하여 한․칠레 FTA 지원기금사업, 노지감귤원 폐원보상, 1/2간벌사업, 열매솎기 지원, 불량과 유통근절 활동지원, 대과(9번과) 수매지원, 국내시장 가격 지지를 위한 수출지원, 전 공무원을 비롯한 기관․단체가 참여한 전국적인 감귤판촉 홍보활동 등이 그렇다.

근본적인 이유는 감귤 값을 잘 받아야 자금이 시중에 돌게 되어 그나마 어려운 지역경제를 지탱할 수 있다는 취지이고 보면 제주감귤이 환금성(換金性)이 높다는 것을 방증하기도 하다.

계량적으로 보면 2005년도 농작물 조수입 1조 1,420억원중 감귤 조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은 52%인 6,006억원이며 2006년도는 6,603억원으로 5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07년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이 65만톤(최적 생산량 44만톤 보다 21만톤 과잉생산)에 이르면서 감귤가격이 하향곡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07년도에는 그 어느때 보다 대대적인 1번과 솎기에 모든 행정력을 기울였으나 막상 현실에서는 이를 기피하는 농가들이 많았다. 가장 큰 이유는 소작농이 많다는데 있다.

현실적으로 감귤재배 농가의 영농규모는 0.5㏊ 이하 53%, 1.0㏊ 미만 80%, 전업농 규모인 1.0㏊이상 20%에 불과하다.

쉬운 말로 ‘차 떼고 포 떼면 뭘 먹고 사냐?’는 식이다.

하지만 ‘차’, ‘포’ 떼기도 전에 졸멸하는 것을 막기 위해선 하는 수 없다.

실제로 2007년산 농가수취가격(‘07. 12. 28일, 10㎏기준)은 3,500원을 밑돌고 있다. 이는 2005년(9,000원), 2006년(10,720원)에 비해 1/3수준 가격이다.

가격하락 원인을 듣자보면 이구동성으로 ‘비 하영 왕 맛 어서 부난’,‘하영 달려 부난‘ 하늘 탓 감귤나무 탓 한다.

가만히 들어 보면 제주감귤의 문제풀이는 쉬운 것 같다.

맛 좋게 하고 적정생산 하면 제 값을 받을 수 있다는 답이 나온다.

과거 농사는 ‘짓는 농사’이지만 요즘 농사는 ‘경영(經營)’이다.

경영은 기업이 추구하는 정의로운 가치를 말하며 농업도 이와 다를 바 없다.

따라서 정의로운 가치 추구를 위해서는 시장의 원리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제 값을 받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당도를 의무화 하고(당도측정 비파괴 선과 의무) 물량 조절(대․소과 폐기)의무화 하는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불량과 가공수매는 철저히 배제되어야 하고 밭떼기 거래를 하지 말아야 한다.

밭떼기 거래는 공장을 통째로 중간브로커에게 넘겨버리는 셈이며 불량제품 유통을 조장하게 되고 결국 신뢰 상실로 감귤밭 주인이 망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시장은 냉정하고 소비자는 더 이상 농심(農心)에 동정을 보내지 않는다.

상인들이 불량과를 수집해서 용돈을 넘겨주는 대신 일년 농사를 망하게 하고 있지 않은가. 농자 천하지대본이라 했다.

농업의 주체는 농업인 이어야 한다.

스스로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찾는 노력이 있을 때 제주감귤의 광영(光榮)은 다시 발할 것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안전하고 깨끗한 제주바다 위한 협력체계 본격화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의회, 제주해경이 안전하고 깨끗한 제주바다를 만들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제주도는 9일 오전 도청 삼다홀에서 제주도의회, 제주지방해양경찰청과 ‘더욱 안전하고 깨끗한 제주바다 만들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 박상춘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등 협약기관 주요 관계자 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해마다 늘어나는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또한 제주바다의 세계적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청정해역을 조성하기 위한 기관간 실질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뒀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해양사고 예방 및 대응, 해양환경 보전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 연 1회 정책간담회를 개최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은 별도 실무협의를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바다는 도민들의 생계수단이자 삶의 터전이며, 관광객에게 아름다움을 선물하는 대표 관광자원”이라며 “국가적 자산인 청정 해역을 보존해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물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의회, 해양경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