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3 (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닭도 아닌 것이 닭이라고?

물닭과 쇠물닭, 수영하는 것을 보면 오리 비슷하기도 하고,,,

새를 관찰하는 사람들에게는 여름이 참 여유롭다.

 

여기서 여유롭다는 것은 그만큼 관찰 할 수 있는 새가 적어서 하는 말이다.

사시사철 새를 관찰 할 수 있기는 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많은 새들을 동시에 관찰하기에는 겨울이 훨씬 좋다.

겨울이면 번식을 끝내고 겨울 철새들이 한곳에 모여 월동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새의 모습과 습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지게 되므로 겨울보다 좋다고 할 수 있다.

 

연꽃이 활짝핀 연못에서 먹이를 찾고 있다

 

물론 여름에는 새가 없는 것은 아니다.

번식의 계절이라 숲을 선호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새들이 산속으로 들어가 은밀한 곳에서 2세를 키우고 있기 때문에 관찰하기가 힘들어 진다.

 

산속에서도 서식밀도가 새들마다 틀리기는 하지만 둥지가 한 곳에 있으며 짧게는 100m에서 넓게는 반경

500m이내에는 다른 둥지가 없는 것도 있다.

이는 먹이를 확보하고 천적의 침입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

 

그만큼멀리 떨어져 있어 새를 관찰하기가 쉽다고 볼 수 없다.

숲에 들어가면 무조건 둥지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둥지를 찾는 것도 새들의 습성을 알고 있는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찾을 수도 없다.

 

 쇠물닭의 둥지와 알

포란중인 쇠물닭

 

 

여름에는 산속으로 들어가 새를 관찰 하는 것도 좋기는 하지만 마을 주변의 연못이나 저수지에서도 남쪽에서

올라와 번식이 한창인 새들이 있다.

많은 물새들 중에 온몸이 까만 새들이 있다.

 

마치 오골계(뼈까지 검은색의 닭)와 흡사하기도 한 물닭과 쇠물닭이 있다.

 

닭도 아닌 것이 닭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어 이상하기는 하지만 아마 여러분도 보시면 닭이 맞다고 할 것이다.

 

이마 부분이 하얀색이냐 붉은 색이냐에 따라 물닭과 쇠물닭을 구분한다.

 

 물위를 수영하기도 하고 연꽃이나 수초위를 돌아다니며 먹이를 먹기도 한다.

 

쇠물닭은 다른 물새와 달리 물갈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물갈퀴와 비슷한 판족을 가지고 있어 수영을 다른 물새(오리류)와 같이 잘한다.

 

물갈퀴가 없지만 물속에 발을 넣어 저을 때는 판족이 펼쳐져 물갈퀴 역할을 하게 되어 물을 많이 제칠

수가 있어 물위에서도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가 있다.

 

 물위를 천천히 유영하고 있는 쇠물닭

 

붉은 머리의 온통 까만 쇠물닭의 가장 큰 특징은 걸을 때마다 꼬리를 까딱거리며 걷는다.

한걸음 내딛고 꼬리를 까딱거리고 또다시 까딱거리며 수초위에서 곤충이나 식물의 씨앗을 먹기도 하며, 위험을 느끼면 물위를 잽싸게 뛰어 도망을 가기도 한다.

 

쇠물닭은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고 여름에 찾아오는 여름 철새이다.

 

크기는 약 30cm 정도로 붉은 이마에 옆구리는 흰색의 두줄이 있어 동정(새를 관찰하고 구분하는것)하기는 그

리 어려지 않다.

흔하게 번식하는 새로 연못이나 작은 습지에서 번식과 서식을 하며 겨울이면 대만이나 태국 , 인도네시아, 베트남으로 월동하러 내려간다.

 

 

새들 대부분 막바지 번식을 하고 있는데 쇠물닭 역시 번식이 진행 중에 있다.

 

한번만 번식하는가 하면 어떤 곳에서는 2차 번식까지 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새들은 첫 번째 새끼들은 분가해 나가 홀로 살아가지만 쇠물닭은 2차 번식이 끝날 때까지 같은 곳에서 살며 자기 동생들(2차 번식에 태어난 새끼)을 어미새들과 같이 먹이를 먹여 주며 같이 살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기도 한다.

 

  특이하게 연꽃위에 둥지를 지었다. 하지만 낚시꾼의 방해로 번식에는 실패 하였다.

  어린 쇠물닭의 모습

 

 어린 쇠물닭이 2차번식에서 태어난 동생에게 먹이를 먹이고 있다

 

 

자기 동생들인지 알아서 하는 행동인지 쇠물닭의 타고난 습성이라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좁은 연못에서 부들

사이를 지나다니며 먹이를 잡아 동생들에게 먹여주며 부모새와 같이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 우리 인간

들의 삶도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한다.

 

이소후 15일경의 어린 쇠물닭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내 특별사법경찰-제주지검, 수사역량 강화 위한 간담회
도내 특별사법경찰(이하 ‘특사경’)과 제주지방검찰청(반부패․환경전담부)이 디지털 증거 수집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제주 자치경찰단은 19일 자치경찰단 회의실에서 ‘제주 특별사법경찰 수사역량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특사경이 담당하는 사건의 안정적인 공소유지를 도모하고, 검찰과 특사경 간의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제주지검 반부패·환경전담부 소속 검사와 자치경찰단, 소방, 수산, 농·수산물 원산지 단속 등 관련 분야 특사경 실무자 등 총 30여 명이 참석했다. 제주지검은 특사경을 대상으로 디지털 증거의 압수 요건 및 절차, 압수영장 집행시 유의사항 등에 관한 교육을 진행했다. 특히, 디지털 증거가 사건 해결의 핵심이 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전자정보 압수·수색 및 포렌식 과정에서의 적법성과 정확성을 강조했다. 실제 수사 현장에서의 사례와 최신 판례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수사 노하우를 공유했다. 특사경 실무자들은 수사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과 제도 개선에 대한 건의사항을 자유롭게 제시했으며, 검찰과 특사경 간의 원활한 소통과 실질적인 협력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박상현 자치경찰단 수사과장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