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닭도 아닌 것이 닭이라고?

물닭과 쇠물닭, 수영하는 것을 보면 오리 비슷하기도 하고,,,

새를 관찰하는 사람들에게는 여름이 참 여유롭다.

 

여기서 여유롭다는 것은 그만큼 관찰 할 수 있는 새가 적어서 하는 말이다.

사시사철 새를 관찰 할 수 있기는 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많은 새들을 동시에 관찰하기에는 겨울이 훨씬 좋다.

겨울이면 번식을 끝내고 겨울 철새들이 한곳에 모여 월동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새의 모습과 습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지게 되므로 겨울보다 좋다고 할 수 있다.

 

연꽃이 활짝핀 연못에서 먹이를 찾고 있다

 

물론 여름에는 새가 없는 것은 아니다.

번식의 계절이라 숲을 선호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새들이 산속으로 들어가 은밀한 곳에서 2세를 키우고 있기 때문에 관찰하기가 힘들어 진다.

 

산속에서도 서식밀도가 새들마다 틀리기는 하지만 둥지가 한 곳에 있으며 짧게는 100m에서 넓게는 반경

500m이내에는 다른 둥지가 없는 것도 있다.

이는 먹이를 확보하고 천적의 침입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

 

그만큼멀리 떨어져 있어 새를 관찰하기가 쉽다고 볼 수 없다.

숲에 들어가면 무조건 둥지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둥지를 찾는 것도 새들의 습성을 알고 있는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찾을 수도 없다.

 

 쇠물닭의 둥지와 알

포란중인 쇠물닭

 

 

여름에는 산속으로 들어가 새를 관찰 하는 것도 좋기는 하지만 마을 주변의 연못이나 저수지에서도 남쪽에서

올라와 번식이 한창인 새들이 있다.

많은 물새들 중에 온몸이 까만 새들이 있다.

 

마치 오골계(뼈까지 검은색의 닭)와 흡사하기도 한 물닭과 쇠물닭이 있다.

 

닭도 아닌 것이 닭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어 이상하기는 하지만 아마 여러분도 보시면 닭이 맞다고 할 것이다.

 

이마 부분이 하얀색이냐 붉은 색이냐에 따라 물닭과 쇠물닭을 구분한다.

 

 물위를 수영하기도 하고 연꽃이나 수초위를 돌아다니며 먹이를 먹기도 한다.

 

쇠물닭은 다른 물새와 달리 물갈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물갈퀴와 비슷한 판족을 가지고 있어 수영을 다른 물새(오리류)와 같이 잘한다.

 

물갈퀴가 없지만 물속에 발을 넣어 저을 때는 판족이 펼쳐져 물갈퀴 역할을 하게 되어 물을 많이 제칠

수가 있어 물위에서도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가 있다.

 

 물위를 천천히 유영하고 있는 쇠물닭

 

붉은 머리의 온통 까만 쇠물닭의 가장 큰 특징은 걸을 때마다 꼬리를 까딱거리며 걷는다.

한걸음 내딛고 꼬리를 까딱거리고 또다시 까딱거리며 수초위에서 곤충이나 식물의 씨앗을 먹기도 하며, 위험을 느끼면 물위를 잽싸게 뛰어 도망을 가기도 한다.

 

쇠물닭은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고 여름에 찾아오는 여름 철새이다.

 

크기는 약 30cm 정도로 붉은 이마에 옆구리는 흰색의 두줄이 있어 동정(새를 관찰하고 구분하는것)하기는 그

리 어려지 않다.

흔하게 번식하는 새로 연못이나 작은 습지에서 번식과 서식을 하며 겨울이면 대만이나 태국 , 인도네시아, 베트남으로 월동하러 내려간다.

 

 

새들 대부분 막바지 번식을 하고 있는데 쇠물닭 역시 번식이 진행 중에 있다.

 

한번만 번식하는가 하면 어떤 곳에서는 2차 번식까지 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새들은 첫 번째 새끼들은 분가해 나가 홀로 살아가지만 쇠물닭은 2차 번식이 끝날 때까지 같은 곳에서 살며 자기 동생들(2차 번식에 태어난 새끼)을 어미새들과 같이 먹이를 먹여 주며 같이 살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기도 한다.

 

  특이하게 연꽃위에 둥지를 지었다. 하지만 낚시꾼의 방해로 번식에는 실패 하였다.

  어린 쇠물닭의 모습

 

 어린 쇠물닭이 2차번식에서 태어난 동생에게 먹이를 먹이고 있다

 

 

자기 동생들인지 알아서 하는 행동인지 쇠물닭의 타고난 습성이라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좁은 연못에서 부들

사이를 지나다니며 먹이를 잡아 동생들에게 먹여주며 부모새와 같이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 우리 인간

들의 삶도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한다.

 

이소후 15일경의 어린 쇠물닭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