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통신원리포트

희귀 맹금류 '물수리' 탈진돼 발견

고산 엉알해안서, 태풍 '산산'의 강한 바람 때문으로 추정

 
속칭 한경면 고산리 엉알 해안가에서 탈진중인 물수리 한 마리가 현지 주민 김수진(68세)씨에 의해 발견되어 한라동물병원에서 보호되고 있다.

안민찬 원장은 ‘탈진된 이유가 이번 산산 태풍에 의해 제대로 먹이활동을 하지 못해 기력을 잃은 것 같다’고 밝혔다. 현재 꽁치같은 먹잇감을 삼킬 수 있을 정도로 상당히 호전되고 있으며, 근시일내에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수리는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통과철새로 환경부 멸종위기 보호조류로 지정되어 있다.

제주에서는 일년 내내 물수리를 관찰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숭어가 주 먹이감으로, 물수리가 곧 제주의 연안 생태환경을 감시하고 있는 환경지표종이 되고 있다.

하도리 철새도래지를 비롯하여 성산포, 강정포구, 대정읍 일대의 조간대, 비양도 등에서도 쉽게 확인되며, 간혹 차귀도 앞 바다, 용수리 저수리, 한라산 중턱의 골프장 상공이나 곶자왈 인접 목장지대에서도 관찰된다.

아직까지 번식한 적은 없지만 먹이자원과 둥지터 등을 고려할 때 번식할 가능성이 높은 종이다.

 
다른 맹금류와는 달리 물수리는 살아있는 물고기를 잘 잡아먹을 수 있도록 신체구조와 습성이 뛰어나다.

시력이 워낙 좋아서 물 위 5〜40m 정도의 높이에서 탐색 비행을 하면서 먹이감을 고른다. 먹이감을 포착하면 비행높이를 낮추고 정지 비행을 통하여 물고기의 움직임과 방향을 정확히 감지한 후, 날렵하게 하강 비행하여 다리를 쭉 뻗는다.

물수리의 다리는 물에서 헤엄치는 숭어를 낚아챌 수 있을 정도로 길고 또한 먹이감을 움켜쥐면 빠져나오지 못할 만큼 발톱이 날카롭다.

숭어를 잡은 순간, 물 위에서 숨을 고른 후, 먹이감을 움켜잡고 먹이터로 날아간다. 먹이량은 번식기 때는 월동할 때보다 많이 낚아채지만 겨울철에는 1일 1〜3마리 정도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