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어디를 막론하고 화두는 경제다.
세계 각 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경제회생을 위한 노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비단 국가뿐만 아니라 한 국가를 구성하는, 가장 근본이라 할 수 있는 국민들 또한 경제회생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소비는 날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경기가 어려울수록 소비를 늘려 새로운 투자와 고용기회 창출 등을 통해 경제가 원활해 질 수 있지만, 오히려 지갑을 닫아 소비를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경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지나친 소비는 오히려 경제회생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건전한 소비 즉 『착한 소비』는 경제회생에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에 서귀포시 여성단체협의회를 중심으로 서귀포 여성들이 뉴-우먼 3단계 추진 과제로 『착한 소비』운동을 전개해 지역경제 살리기에 앞장서고 있다.
재래시장과 골목상권 이용하기, 지역상품 및 지역농산물 이용하기 운동 등 『착한 소비』 촉진 운동을 적극 전개하기로 한 것이다.
정말 박수 칠 일이라 생각한다. 여성의 힘이 얼마나 위대한가를 몸소 실천을 통해 보여 주고자 하는 그분들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전 시민이 적극 동참하기를 희망해 본다.
나는 업무상 그분들(여성단체 회장 및 회원)을 자주 만난다. 그분들을 만나면서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분들은 1인 3역,5역을 하고 다니신다. 가정주부, 아내 , 엄마의 역할을 완벽하게 하시고 또한 단체를 이끌어 나가신다. 그래도 그분들이 표정은 항상 밝다. 바쁜 일정 , 역할에 짜증이 날만도 한데 항상 웃고 다니신다. 그들이 누구인가? 우리의 어머니이고 아내이고 이 사회의 절반을 차지하는 구성원이다.
그분들이 신명나게 일 할 수 있도록 힘찬 응원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이다.
재래시장은 민생경제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서귀포시는 그동안 재래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 등을 펼쳐 재래시장 경쟁력 향상을 꾀해 왔다. 특히, 대형 할인매장이 많아지면서 재래시장 상인들은 자구 노력으로 이미지 쇄신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켜 왔다. 더욱이 재래시장상품권 사용이 활성화 되면서 재래시장이 활기를 되찾고는 있지만, 더 많은 자구 노력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젠 실천할 때다. 지역경제 활성화는 『착한 소비』 촉진운동의 작은 실천이 필요하다.
시민들의 1%의 『착한 소비』실천이 우리 지역의 경제를 살릴 수 있을 것이다. 거듭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 드립니다.
제호 : (주)이슈제주 | 인터넷신문 등록 제주 아-01005호 | 등록일 2006년 4월 4일 | 사업자등록번호 616-81-55901 창간일 2006년 4월 7일 | 발행인/편집인 고창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고창일 010-6742-6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329 203동 203호 | Tel (064) 757-1442 Fax (064) 757-1443 E-mail : issuejeju@issuejeju.com ㅣ Copyright ⓒ 2010 (주)이슈제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