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제주는 변화중이다.

 
제주는 변화중이다. 관광이 변하고 있고 도시가 변하고 있고 경제가 변하고 있다. 관광지 어디를 가나 세일열풍, 친절열풍으로 제주이미지를 바꾸고 있고, 도시 어디를 가나 불법광고물 제거 등 환경정비 노력으로 도시이미지를 바꾸고 있으며, 1지역 1명품갖기, 각종 축제 개최 등으로 지역경제 또한 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는 이런 변화의 노력에 주민들이 앞장서 나가고 있다는 것이 아닐까. 얼마 전에 우리 송산동에서도 지역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칠십리로 일대에 ‘칠십리길 음식 특화거리’ 선포식을 가졌다. 이 특화거리는 음식가격인하와 친절, 서비스 혁신운동을 통해 예전 칠십리거리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음식점 대표들의 간절한 마음에서 이루어졌다.

음식가격을 인하하여 통일메뉴판을 부착하였고 입구에 특화거리 멋진 상징조형물을 설치하였으며, 꽃거리 조성을 해놓았다. 이는 행정뿐만 아니라 주민 스스로가 친절운동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제주가 변화하기 위한 민·관 공동노력의 단적인 예로 볼 수 있겠다.

도시의 첫인상을 좋게 하기 위한 불법광고물 정비 역시 관내 자생단체의 열의 있는 동참이 없었다면 추진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런 노력들에 힘입어서인지 사실 최근에 관광객 및 도민들이 세일, 명품, 특화거리 등에 대해 문의하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 가격인하를 한 음식업소를 문의해오고, 음식특화거리 위치에 대해서 문의해온다. 별거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전과는 분명히 다른 분위기가 느껴진다.

얼마 전에는 한 외국인이 우리 주민센터에 와서는 ‘칠십리축제’, ,‘보목자리젓’을 문의한 적이 있다. 외국인이 이렇게 우리고장을 찾아와서 우리 관내 대표축제 및 명품을 문의하는 것에 신기하게 느껴지기도 하였지만, 여기에서 제주발전의 실마리를 또한 찾을 수 있었다.

비단 우리동뿐만 아니라 제주 어디를 가나 같은 분위기일 것이다. 이런 기운에 힘입어 지역 곳곳의 숨은 진주를 찾는 듯 지역만의 특색을 살린 축제며 특산품들... 이를 발굴하고 도내외에 홍보하는 행정과 지역 주민의 노력이 빛을 발할 때가 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

벌써 기대되고 흥분된다. 당장은 많이 나아지고 발전되진 않겠지만 5년이 지나고, 10년이 지나면 제주도는 어떤 모습일까? 관광객들은 깨끗한 제주도에서 넘실대는 파도에 몸을 싣고 제주축제를 즐기면서 맛있는 제주향토음식들을 먹으며 즐거워 할 것이고, 우리 도민들은 넘쳐나는 관광객에, 발전하는 제주도를 보면서 함박웃음을 짓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서귀포시 송산동 김형준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시, 공중이용시설 점검으로 중대시민재해 예방
제주시는 공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제주종합경기장을 비롯한 25개소에 대해 안전보건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중대시민재해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중이용시설 등의 관리상의 결함으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이번 점검은 제주시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 185개소 중 체육시설 등 주요 시설 25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주요 점검 사항은 ▲안전보건 관리체계, ▲공중이용객 측면의 유해·위험 요인, ▲재해 발생 시 비상대응체계 등이다. 점검 결과, 확인된 유해·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개선 조치를 요청하고 안전보건 관리 및 비상대응 체계 등 보완이 필요한 경우 시정을 요구하여 개선 결과까지 확인할 계획이다. 제주시는 매년 공중이용시설의 현황을 전수조사하여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을 지정하고 있으며, 올해 지정 시설은 도로·교량, 체육시설 등 185개소다. 아울러,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정밀안전진단 등 시설물 안전 점검의 누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기별․관리부서별 자체 점검도 실시해 오고 있다. 박기완 안전총괄과장은 “철저한 시설 관리로 시민과 관광객의 안전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