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한권 의원, 지역혁신벤처펀드 조성액 과다 및 사후관리방안 미흡 지적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한권 의원(일도1, 이도1, 건입동, 더불어민주당)127()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에서 “310억원 규모의 4차산업혁명펀드가 지원한 46개사 중 제주기업은 10개사, 21.7% 수준으로 10개 중 2개 기업 수준인 상황으로, 제주지역 중소벤처기업수를 감안할 때 지역혁신벤처펀드 출자금 60억원은 매우 과다하며, 투자 이후 회수금의 사후관리 방안도 매우 미흡하다고 지적하였다.

 

제주도정은 <대구·제주·광주권 지역혁신 벤처펀드 조성>을 위해 202320억원을 시작으로 3년간 총 60억원을 출자할 계획이며, 대구, 광주, 한국모태펀드 및 민간투자 등을 통해 총 1,278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하여 대구·제주·광주 지역 소재 성장 유망기업, 중소벤처기업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한권 의원은 각 지역의 출자금액을 보면 벤처기업이 654개소가 있는 광주는 48억원으로, 제주는 벤처기업 수가 212개사에 불과한데, 출자액은 60억원으로, 벤처기업 수는 제주가 광주의 1/3 수준인데, 출자액은 제주가 광주보다 12억원이나 더 출자하고 있어, 과도하게 펀드 출자금을 정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특히 지난 도정에서 조성한 4차산업혁명펀드의 조성금액은 1150억원, 2160억원 등 총 310억원이나, 전체 투자기업은 46개사 중 제주기업은 10개사, 21.7%, 10개 기업 중 제주기업이 2개 수준에 불과한 실정으로, 지역 내 투자를 출자금액의 2배수 이상으로 정하고 있으나, 실제 제주기업에 투자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펀드 조성액은 TP의 출연금으로 편성되어 지출되는데, 향후 펀드 운영(투자) 종료 후 회수금에 대한 사후 관리방안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아, 4차산업혁명펀드를 비롯한 각종 벤처펀드가 조성된 이후 자금이 어떻게 관리되는지에 대해 도민사회 및 의회 등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권 의원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적극적 육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적극 동의하나 4차산업혁명펀드의 특정기업 밀어주기 특혜 및 페이퍼 컴퍼니의혹 등이 제기된 사례가 있는 만큼 이를 반면교사 삼아 상당한 도민의 혈세가 투입되는 벤처펀드의 투자 규모의 적정성 판단과 함께 벤처펀드 운용에 대한 의회보고 절차 마련 등 도민사회 내 발생할 수 있는 의혹을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문하였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시, 공익직불금 부정수급 막는다
제주시는 공익직불금 제도의 체계 확립과 투명성 제고를 위해 ‘2025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부정수급 사전 방지 현장점검을 오는 9월까지 실시한다. 공익직불금은 환경보전, 농촌유지, 식품안전 등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목적으로 소농직불금과 면적직불금 두 가지 유형으로 지원된다. 이번 점검은 직불금 지급 전 부정수급을 예방하고 직불금 감액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이다. 직불금을 받는 농업인은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실경작과 16개 준수사항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제주시는 최근 일부 농가에서 의무 불이행이나 형식적 준수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사전 점검을 통해 부정수급을 차단하고 제도의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점검 대상은 지난 5월 말까지 공익직불금을 신청 접수한 1만 8,169명 중 신규 신청자, 관외경작자, 보조사업 불일치자 등 280여 명이다. 점검 결과 부정 신청이 확인되면 등록 취소 또는 등록 제한 등 행정처분을 실시해 부정수급을 근절하고, 적격 농업인에게 직불금이 지급되도록 할 예정이다. 2025년 기본형 직불금은 점검 결과를 반영해 12월에 지급하며, 이행점검과 지급 요건 검증 기간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