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디지털시대 정치인이 사는 법

오창현씨는 제주관광대학 관광경영과 겸임교수이며, (주)커뮤시티 대표 입니다.
아직 제주도에서는 인터넷 등 디지털을 활용하거나 네티즌의 여론에 의해 당락이 좌우되는 경우는 없었다. 그렇지만 지난 대선에서의 노무현 후보 측의 감성마케팅을 활용한 인터넷 공간의 장악과 함께 투표당일 네티즌들의 움직임은 당락을 결정하는 폭발력으로 평가되었다.

선거과정 네티즌 움직임 무시 못한다.

이처럼 인터넷 공간의 활용으로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한 예로 지난 6.15총선 당시 여당 의장의 노인폄하 발언과 서울시장이 자신의 신앙심을 표현한 발언은, 언론을 벗어나 네티즌들로부터 엄청난 공격을 감수해야 했다. 이 두 가지 모두 발언자의 의도와는 다른 상황까지 초래되어 정치적 파장을 몰고 왔다.

이처럼 정치인들은 인터넷 공간에서 발언의 진의를 떠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 무방비로 당하게 되기도 한다. 이는 바로 감정적 매체라 할 수 있는 인터넷미디어의 특성이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그때 그 일에 대해서, 그렇게 법석을 떨만한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네티즌들은 일단 눈앞에 보이는 일련의 스토리와 실감나는 동영상을 돌려보며 감정을 폭발시키기 때문이다.

올해 선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행정구조개편에다 지방의원 유급제 등 지방의원 처우가 개선되고, 권한이 많아지면서, 새로운 인물의 등장과 더불어 이번 선거는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선거법상 좀 막연하기는 하지만 언론 등에 한번 이름이 오르내리거나, 선관위의 모니터링으로 인해 ‘뜻을 세운자(立志者)’들 중에는 벌써부터 법에 저촉되어 본인에게는 안타까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얼마나 많은 예비후보자들이 선관위로부터 호출을 당할지 모를 일이다. 아니 선거가 끝났다 하더라도 얼마나 많은 정치인이 옷을 벗을지 모를 일이다.

디지털기록 언제든 가공, 뉴스거리로 전송

이러한 일들은 멀티미디어로 무장한 유권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회에서는 앞으로 흔한 일들이 될 것이다. 인구의 대부분이 사이버공간에서 뒤엉켜 살아가는 지금, 공적 사적 의미를 떠나 모든 종류의 ‘디지털기록’은 언제든지 가공되고, 뉴스거리로 혹은 선관위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치인들은 예외 없이 어떻게 하면 인터넷을 정치적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그전에 모든 국민이 디카(디지털 카메라)와 폰카(카메라폰)으로 무장한 시대임을 한시라도 잊어선 안 된다. 나중에 후회해 본들 소용이 없을 것이다. 그럼, 디지털시대에 정치인이 살아남는 방법은 뭘까?

정치인들 홈페이지를 보면 정치기조니 공약이니 뭐니 대부분 형식적이다. 사람들은 이에 대해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선거법이 강화되어 예전처럼 그리 바쁘지도 않은 세상, 오히려 컴퓨터에 앉아 네티즌과 데이트를 하면 어떨까? 방문하는 이가 적더라도 개인의 일상, 신념, 정치철학, 나만의 세상보기를 올려라. 필시 사람들은 몰려든다. 그럼 데이트가 시작되는 것이다.

헛된 공약 남발, 부정행위 결국 자신파괴

인터넷 공간에선 이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헛된 공약이나 남발하고, 부정한 행위를 한다면 반드시 디카, 폰카에 잡힌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인터넷 세상에서 자신을 파괴할 것이라 믿어야 한다.

디지털시대가 우리 사회를 바꾸고 있다. 예전에 얼룩진 부정선거, 혼탁선거는 디지털로 무장된 유권자에 의해 바로 잡힐 것이다. 그런데 그 이전에 정치인들은 정해진 규정안에서 올바르게 유권자에게 다가서야 하고, 디지털 유권자를 무서워하지 않는 무공해 정치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