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20일 3명 확진, 소모임 자제 당부

모두 557번 확진자의 접촉자

제주특별자치도는 203(제주 #559~#561)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3명은 모두 557번 확진자의 접촉자로 파악됐다.

 

제주도는 20일 오후 2시 경부터 3명의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사실을 도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통보받고 역학조사에 착수했다.

 

이로써 2월 들어 제주지역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39명이 발생했으며, 누적 확진자 수는 총 561명으로 늘었다.

 

확진된 3명은 지난 19일 확진된 557번 확진자의 접촉자이다.

 

557번은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수도권을 다녀온 이력이 있으며, 19일 오후 230분경 확진됐다.

 

이들 3명은 557번과 558번 확진 이후 접촉자로 분류되어 19일 오후 430분경 제주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았다.

 

그 결과 20일 오후 2시경부터 차례로 도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확진판정을 받았다.

 

 

이들 3명에 대한 역학조사는 진행중에 있다.

 

559번은 지난 16일부터 발열, 기침 인후통 등의 증상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560번은 지난 19일부터 기침 증상이 있었으며, 561번은 코로나19 관련 증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3명은 오늘 중으로 제주의료원으로 이송돼 격리 입원할 예정이다.

 

도 방역당국은 역학조사를 위해 진술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신용카드 사용 내역 파악, 제주안심코드 등 출입자 명부 확인, 현장 CCTV 분석 등을 통해 세부 동선을 조사하고 있다.

 

이동 동선은 확인되는 대로 방역 조치할 방침이다.

 

임태봉 제주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장은 제주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지인과 가족 간 소모임과 접촉으로 인한 추가 확진 양상이 늘고 있다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1.5로 완화된 첫 주말에도 경각심을 놓지 마시고 사적인 모임을 가능한 자제하며 방역수칙 준수에 함께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20일 오후 5시 현재 확진자 3명이 추가 발생하고 1명이 퇴원함에 따라 제주지역 격리 중 확진자는 25(중랑구확진자 1, 용산구확진자 1명 포함), 대구 이관 1, 격리 해제자는 537(사망1, 이관 1명 포함)이다.

 

제주지역 가용병상은 총 513개로 파악됐다.

 

현재 자가격리자 수는 총 331(확진자 접촉자 125, 해외입국자 206)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민 생명 지킨다”제주도, 자살예방 대책 가동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살률 증가에 대응해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는 등 도 차원의 맞춤형 예방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제주지역 자살사망자는 232명,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3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주도는 자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업회의 개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중심의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현장에서 활동하는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을 확대하고 자살위기 대응 시스템도 개선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위험군은 집중관리한다. 생명사랑 실천가게 운영과 정신응급 대응체계 강화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의 자살 급증지역 컨설팅 강화 방침에 맞춰 제주도도 지역별 자살 현황을 정기 점검하고 급증 지역은 원인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자살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