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구름많음동두천 6.8℃
  • 흐림강릉 11.3℃
  • 박무서울 10.7℃
  • 박무대전 10.3℃
  • 박무대구 10.1℃
  • 박무울산 12.4℃
  • 박무광주 12.6℃
  • 흐림부산 16.7℃
  • 맑음고창 10.3℃
  • 맑음제주 19.6℃
  • 구름많음강화 10.0℃
  • 구름많음보은 7.4℃
  • 구름많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12.5℃
  • 구름많음경주시 9.8℃
  • 구름많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강성의 의원, 하수슬러지 처리대책 조속히 마련해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강성의(더불어민주당, 화북동) 의원은 상하수도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하수슬러지 도외 반출에 대하여 지적하면서 제주도내에서 하수슬러지를 처리 할 수 있도록 조속한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제주도내 하수슬러지 발생량은 201783.71/, 201898.49/, 2019120/일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제주지역 하수슬러지 처리는 광역하수슬러지자원화시설(수탁기관 효성중공업())과 삼다비료, 한라산영농조합법인(한라자원)에서 하수슬러지를 처리하고 있으며, 처리비용도 서로 상이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925일부터 한라자원 슬러지 처리 물량 도외 운반 처리를 하고 있는 가운데, 위탁처리업체인 한라자원이 악취민원 등으로 올해 10월부터 시설개선 예정으로 10월 이후 도내 슬러지 처리 불가로 부득이 도외 반출 처리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수슬러지 처리대책이 전무하다고 지적한 강 의원은 제주도내 하수슬러지 발생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처리 대책을 사전에 마련하지 못한 것은 행정의 직무유기라고 질책했다.


가연성압축쓰레기, 폐목재에 이어 하수슬러지도 제주도내에서 처리를 못하는 것은 제주도의 폐기물 처리 정책이 부재라고 할 수밖에 없다고 보는데, 이제까지 하수슬러지 자체처리시설을 확충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 따져 물었다.

 

광역하수슬러지 자원화 시설에서 회천매립장으로 하수슬러지 고화토 반입현황을 보면 201812644, 20193월까지 449, 201941일부터는 봉개매립장 만적으로 인한 하수슬러지고화토가 동복 신규매립장으로 반입되고 있는데, 매립장 복토재로 재활용 안 되고 있어 제대로 운영이 안 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강조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