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칼럼)관광수용능력 확대? 멈춰야 할때

인프라 확충시, 환경훼손.비용 두렵다

제주지역의 현재 교통 인프라 수준으로는 관광객 수용 능력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결과는 도민들에게 쌍방향의 의견을 떠올리게 한다.

 

더 오게 하기 위해서 ‘2공항을 건설하고 인프라를 늘여야 한다는 것과 이젠 됐다, 섬을 고무줄처럼 늘릴수는 없는 노릇 아니냐가 그것이다.

 

제주관광공사 연구조사센터와 제주대 경영학과 방호진 교수가 진행한 이번 연구 내용을 더 보자.

 

연구 결과, 제주국제공항의 활주로에 연간 172000회의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고, 여객터미널은 연간 2547만명이 이용 가능해 제주 방문 편도 기준 1485만명 수준이 항공 교통편의 최대 수용규모로 판단했다.

 

또 선박편을 통한 관광객 규모는 13척의 정기여객선과 크루즈 입항 규모를 합친 201만명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전체 수용 가능 규모(물리적 수용력)1686만명으로 분석하고, 2019년께 이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제주 방문 관광객 수는 20161585만명을 기록한 뒤 올해 1658만명, 20191741만명, 20232059만명으로 전망했다.

 

사실상 현재도 관광객 포화상태란 평가다.

 

교통체증으로 인한 혼잡비용, 폐기물 처리비용, 하수처리비용 등을 포함한 경제적 비용이 관광객 유입에 따른 경제적 수익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수익 극대화는 보수적으로 분석하면 1990만명까지.

 

2022년에는 이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봤다.

 

이는 관광객이 1990만명을 넘어서면 관광객 유입에 따른 수익보다 교통대책, 폐기물 및 하수처리 비용 등 경제적 비용이 더 많이 든다는 의미다.

 

제주관광공사는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관광객 2천만명 수준이 제주관광산업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관광시장이 지난 20년 동안의 성장 추이가 계속되면 앞으로 5(2023) 이내에 관광시장 과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진단했다.

 

이쯤이면 결론은 명확해진다.

 

관광객을 더 늘리기 위해서는 교통, 폐기물처리, 하수처리 등 간접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거기에 소요되는 비용은 아직 산출되지 않았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 파헤쳐지는 제주의 땅은 더 어떨지 아찔하다.

 

이미 4대강에서 우리는 훼손하기는 쉽지만 되돌리기는 어려운 것이 자연환경임을 깨닫고 있다.

 

이젠 멈추시라고 간곡하게 당부하고 싶다.

 

관련 업체가 벌어들이는 돈 몇푼을 위해 우리의 미래를 맡길 수는 없지 않은가.

 

조상대대로 살아 온 삶의 터전에서 그들이 숭상하는 경제를 위해떠나라고 강요할 자격은 아무에게도 없다.

 

2공항이 들어설 예정인 성산.온평 지역 주민들에게 뜨거운 응원을 보낸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위원회, 유관기관 합동 교통사망사고 취약지역 현장 점검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27일(수) 서귀포시 강정동 일대에서 서귀포경찰서, 자치경찰단, 서귀포시청 등 관계 기관과 함께 교통사망사고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점검은 최근 고령자·보행자·이륜차 관련 교통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취약계층 보호와 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실태를 확인하고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현장점검에서는 ▲사망사고 지점의 안전실태 확인 ▲고령 보행자 통행환경 점검 ▲교통시설 개선 필요 여부 검토 ▲관광지 중심 이륜차 안전관리 대책 ▲음주운전 예방 및 교통안전 홍보 강화 방안 등을 중점 논의했다. 박영부 위원장은“보행자와 고령자, 이륜차 운전자가 더 이상 희생되지 않도록 관계 기관과 협력해 실질적인 교통안전 대책을 추진하겠다”며, “교통안전 정책은 도민의 생활과 직결된 만큼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자치경찰위원회는 이번 점검 결과를 반영한 지휘 내용을 심의‧의결을 거쳐 제주경찰청과 자치경찰단에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유관기관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교통안전 시설 개선, 맞춤형 단속·홍보를 병행해 도민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