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제주가“코리아 그랑프리 국제유도대회”열기로 가득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2015 제주 코리아 그랑프리 국제유도대회 76개국 3,000여명의 선수단 및 동반가족 등이 참가한 가운데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한라체육관에서 성대하게 열린다고 밝혔다.

 

국제유도연맹이 주최하고 대한유도회가 주관하는 이 대회는 우리나라에서도 제주에서만 개최되고 있는 국내 최고의 권위있는 국도대회이다.

 

2012년까지 코리아 월드컵 대회로 열리다가 2013년부터 한단계 승격돼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로 개최됨으로써 올림픽 출전필요한 랭킹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개최 최고의 유대회로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총상금 10만달러가 걸려 있는 이 대회는 24일부터 선수단이 착하고 25일 메종글래드에서 추첨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한다.

 

체급은 남녀 각각 7개 체급이며 참가자의 수는 나라별로 체급별 최대 2명이며, 주최국인 우리나라는 체급별 최대 4명이 참가할 수 있다.

 

공식 계체는 시합 전일 20:00에 실시하며 시합시간은 남자 5, 여자 4분이다.


시상은 1위 금메달과 상금 3,000달러, 2위 은메달과 상금 2,000달러, 3(2) 동메달과 상금 1,000달러를 각각 수여한다.


이번 대회 선수단 참가규모는 지난해 53개국 보다 23개국이 증가한 76개국1,000여명으로 역대 최대이며 올림픽 및 세계선수권대회 입상자들이 대거 참가한다.

 

세계랭킹 1위이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서 무적을 자랑하는 프랑스 국적의 Teddy Riner(+100kg)를 비롯하여 곽동환 (세계선수권 금, -90kg, 대한민국), 안바울 (세계선수권 금, -66kg, 대한민국), Silva Rafaela (세계선수권 금, -57kg, 브라질), Gibbons Gemma (올림픽 금, -78kg, 영국), Harrison Kayla (올림픽 금, -78kg, 미국), 등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 아시안게임 메달리스트 14명이 참가함으로써 대회 열기가 더욱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제주도청 소속 김미리(-52kg) 선수가 제주출신으로서는 유일하게 우리나라 대표팀으로 출전한다.

 

한편, 제주도에서는 이번 대회를 통해 선수 및 임원 등 대회관계자와 동반가족 등 스포츠 관광객 3명이 동반 체류함에 따라 약 28억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탐라문화광장 현장회의로 생활안전 대책 집중 점검
제주특별자치도는 16일 탐라문화광장 부근 산지천갤러리에서 ‘생활안전 환경개선 전담팀(TF)’ 제4차 현장회의를 개최하고, 여름철 음주·노숙 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회의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관광객 증가와 야간시간대 음주·소란행위 및 노숙 민원으로 제주시 원도심의 관광 이미지 손상을 막기 위해 마련됐다. 폭염으로 인한 위험과 쓰레기·악취 문제 등 실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서다. 회의에는 제주도 및 제주시 유관부서와 자치경찰단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지역주민들이 느끼는 현장 상황과 함께 노숙인 자활활동을 추진하는 사회복지법인 센터장의 의견도 청취했다. 올 상반기 상습 주취행위자 면담결과와 자치경찰단 주취자 해산조치 분석 등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부서간 협업과제와 향후 추진과제를 논의했다. 새로 추진할 과제로는 △야간 주취로 인한 악취문제로 오전시간대 고압 정밀 세척 △야간 관광객을 위한 야간시간대 환경정비활동 △시민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제주시 보안관 자율방범 순찰활동에 대한 의견이 공유됐다. 기존 과제 중 강화해야 할 부분으로는 △신규 주취자 유입에 따른 합동단속체계 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