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21세기 글로벌화, 기술진보,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핵심적인 글로벌 이슈로서 세계경제, 산업전반, 기업경영에 다각적인 영향을 미칠 최우선 글로벌 아젠다로 부상하고 있다. ‘05~’07년 다보스포럼(WEF) 핵심 의제로 다루어졌고, ’07년 세계 500대 기업 70% 이상이 기업경영 위기요인으로 꼽았으며(‘07년 파이낸셜 타임즈), 반기문 UN사무총장은 취임사에서 UN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가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 대책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07년 APEC 정상회의시 “기후변화에 관한 정상 선언문” 채택, ’08년 G8 확대정상회의에서는 기후변화가 단일 주제로 집중 논의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21세기 지구촌의 화두는 기후변화 대응, 녹색성장이다. 이를 반영하듯 이명박 대통령께서도 건국 60주년을 기념한 경축사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고유가로 인한 에너지 대책 차원에서 ‘저 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을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제시하였으며, 이후 정부 차원에서 녹색성장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역시 지방차원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글로벌 리스크를 대비하는 각종 정책들을 수립·추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대응이 최대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한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온실가스가 지구 복사열의 우주 방출을 막아 적절한 온도(15℃)보다 지나치게 더워지는 현상이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으로 나무를 심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대기 중의 열섬화를 저감시켜 나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기후변화시범도 지정을 뒷받침하며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향후 5년간(09~13) 930억원을 투자하여 탄소 흡수율이 높은 가시나무류 등 난대 상록활엽수종을 중심으로 매년 100만 그루씩 5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1만 탄소톤의 흡수원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산림은 커다란 탄소흡수원으로 증산작용을 통해 공기정화, 기온조절 등으로 지구 탄소순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 예로 나무 한그루가 50년 동안의 부가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해 보면 34백만원에 해당하는 산소를 생산하고, 39백만원에 해당하는 물을 재생산하며, 67백만원에 해당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총 1억4천만원 상당의 가치를 우리들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 그리고 농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