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가 희망하는 바는 일정한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돌아왔을 때 자신에 알맞은 직장이 있어 성실하게 직장에서 생활하며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먼 훗날 희망의 나라를 꿈꾸는 것이 현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데 제주사회의 산업구조를 보면 1,2,3차 산업의 구조가 불균형을 이루고 있어 이 구조가 균형을 이룰 때 구성요원인 도민들에 골고루 혜택이 돌아 갈 수 있을 터인데 기형적인 산업구조로 제주인구의 증가 속도가 완만하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타계해야 할 정책으로는 2차 산업을 활성화해야 만이 보다 많은 청년세대를 흡수 할 수 있으며 현 사회의 고민인 저 출산을 풀어 갈 수 있는 여건이 될 수 있다는 사회학자의 주장들이 있다,
이렇듯 제주사회에 2차 산업을 부흥시켜야한다는 절대 절명이라고 하나 그 어느 하나도 만만한 것이 없다. 제주의 청정성을 살리면서 환경적 오염이 없는 산업은 무엇인가 고민 중에 제주의 또 하나의 자원인 지하 염지하수, 일명 용암해수의 산업화가 제기되었고 이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일본 해양심층수 산업시설을 둘러보게 되었다. 우선 제주의 용암해수와 해양심층수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를 살펴보면 이 두 가지의 물은 물리, 화학적으로 유사한 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해양심층수는 심해인 350여m에서 채수, 이를 가공 후 각종 상품이 출시되며 시설에 투입되는 비용이 240억원, 연간 보수비용이 10억원이 드는 반면 제주의 용암해수는 지하 100m에서 이와 유사한 물을 채수 할 수 있다는 점으로 보아 투자의 메리트가 있는 것이 아닐까? 사료되는 바이다. 혹자는 이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토로시는 관광자원이나 특별한 소득원이 없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심층수에 의한 산업으로 음료, 소금, 화장품, 주류, 화장품등 300여개 제품이 생산되면서 연간 매출액이 150억엔을 올리는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어 제주의 용암해수도 작은 비용으로 채수가 가능하며 연간 보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 일수 있어 그 산업화의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에 대한 경영수익에 대하여 자세히 파악 할 필요는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일본에서는 많은 지역에서 해양심층수를 채수 후, 여러 가지 산업에 이용되고 있으나 초기 추가 투자비와 유지비를 걱정하는 현지 실무자의 고민을 들으면서 제주의 용암해수는 시설비 투자 면에서는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계기로 제주사회에 청정 2차 산업발전으로 고용창출과 메디칼 리조트, 건강증진 센타 (텔라소 테라피)시설을 발전시켜 제주의 또 다른 관광명소가 태어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제호 : (주)이슈제주 | 인터넷신문 등록 제주 아-01005호 | 등록일 2006년 4월 4일 | 사업자등록번호 616-81-55901 창간일 2006년 4월 7일 | 발행인/편집인 고창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고창일 010-6742-6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329 203동 203호 | Tel (064) 757-1442 Fax (064) 757-1443 E-mail : issuejeju@issuejeju.com ㅣ Copyright ⓒ 2010 (주)이슈제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