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황금돼지의 분뇨(糞尿)의 진실은

황금돼지의 분뇨(糞尿)의 진실은

 
2007년 정해년은 600년만에 찾아오는 “황금돼지”해 라고들 한다.

정해년의 정(丁해)자가 오행에서 불을 뜻하므로 60년만에 찾아오는 붉은 돼지해가 되고 여기에 음양오행을 더해 다시 계산하면 600년만에 찾아오는 황금 돼지해가 된다고한다.

어쨌든간에 “돼지”해를 맞아 가축분뇨의 진실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들어 나의 의견을 제시하여 본다.

제주양돈산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1960년대 이전은 “제주똥돼지”로 상징되는 농산부산물에 의한 부업양돈으로 가구마다 화장실 모퉁이를 이용한 사육형태로 구비(비료)생산 및 경조사용으로 흑돼지를 사육하여 제주농업에 있어서 비료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그러다가 1993년도부터 돼지고기 대일 수출이 시작되면서 주요수출 전략 품목으로 행정에서 집중육성함에 따라 전업화, 집단화, 단지화로 냄새민원이 발생하였고 가축분뇨처리 문제가 축산업계 뿐만아니라 제주사회에서 중요한 문제점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축산농가에서는 양질의 퇴액비를 생산하고 경종농가에게 공급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경종농가에서는 가축분뇨가 농업에 있어서 토양개량, 양분공급 등에 효과가 있음을 알면서도 농가당 경작면적 증가, 인력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이용하기에 간편한 화학비료 사용이 증가 되는데 이는 ‘90년대이후 수입개방 및 과잉생산 등으로 감귤 등 제주산 농산물 가격이 대체적으로 하락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본다.

양돈업을 경영하면서 경험한 예로는 감귤가격이 호조를 보인 다음해 봄에는 돈분이 감귤원의 밑거름으로 이용되어 가축분뇨 처리에 어려움이 없으나 가격이 하락한 다음 해에는 가축분뇨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예로 살펴보건데 가축분뇨를 원활히 처리하고자 한다면 제주산 농산물가격이 상승되어 경종농가가 고소득자가되어 자기 농작물에 더 애정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양돈장에서도 가축분뇨를 농작물에 이용 할 수 있도록 부숙 등 비료로서의 품질을 향상 시킬 뿐만아니라 살포시 냄새등 지역주민들로부터 거부감이 없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라는 전제하에서 이다.

정부에서는 자연생태계의 영속적인 물질순환 기능을 활용하여 작물과 가축이 건강하게 자라게 함으로써 농축산물의 안정성과 품질을 높이고자 “자연순환농업”을 추진하고 있다. 가축퇴․액비를 이용한 자연순환농업이 이점을 이해 못 할 농민은 없다고 본다. 현실적으로 노력에 비하여 소득이 높아지지 않는한 이러한 자연순환농업은 이론에 불가하다고 보여진다.

황금돼지해인 2007년은 제주농업전체가 어려운 경제에서 벗어나 넉넉해질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농촌이 넉넉해 질수록 가축분뇨처리 문제 및 가축사육으로 인한 냄새민원도 줄어 들 것이며 행정 및 축산업계에서 인위적인 노력에 의한 가축분뇨처리량 보다 훨씬 많이 처리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황금돼지 분뇨의 질실은 “타고남은 재가 기름이 된다”는 믿음과 같다고 할 것이다.(가축분뇨처리가 원활하면 농촌이 활기 있고, 처리가 어려우면 경종농가도 어렵다)

2007년(정해년) 1월 모두가 잘사는 사회를 꿈꾸며....

동화축산 대표 고권진 씀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표선면 일대 교통안전 캠페인 전개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은 22일 오전 8시 서귀포시 표선면 일대(표선초·중·고등학교)에서 교통문화지수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번 캠페인은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 표선면사무소, 표선파출소, 표선초중학교 교직원 및 학부모회, 표선면 자생단체(주민자치위원회·이장단·자율방재단·새마을부녀회), 시니어클럽 등 민간치안협력단체 50여명이 참여했다. 표선초·중·고등학교 등교시간대인 오전 8시부터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안전수칙을 안내하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리플릿도 배부했다. 특히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는 올해 3월부터 서귀포경찰서와 긴밀히 협력해 서귀포시내 주요 도로와 교차로를 중심으로 음주운전 단속을 집중적으로 시행해 왔다. 5월부터는 표선면 등 시외지역으로 단속 범위를 확대해 농촌·관광지·외곽도로 등 사각지대 해소에 나서고 있다. 외곽지역에서의 음주운전은 단속 회피 심리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선제 대응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표선지역의 인구 유입 증가와 함께 IB 학교인 표선초·중·고등학교 학생 수(1,500여명)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해당 지역의 통학로 교통안전 확보 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