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수출 3000억불 달성과 'Can Do' 정신

12월5일 3000억불 수출이 달성됐다.

64년도 1억불로 시작하여 42년만에 3000배의 신화를 만든 셈이다. 여기에는 그 동안 정부지도자와 기업이 수출에 대한 열정과 지식기반산업에 끊임없는 기술개발 그리고 Can Do 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보아진다.

1억불 당시 주요 수출품목을 살펴보면 더욱 그런 생각이 맞아 떨어진다. 어패류 1,400만불을 비롯해 면직류가발등 1,500만불 합판 1300만불 의류 600만불에 불과하였고 제주도의 소라와 닭새우도 한몫했다. 지금 생각하면 초라하기 그지 없지만 당시에 1억불 달성은 대단했다. 그 저력을 기반으로 100억불까지 13년, 천억불까지는 18년이 걸렸지만 11년만에 3000억불을 달성했다. 5년 후에는 IT, BT, NT등 고부가가치인 차세대 동력산업을 육성하여 수출 5천억불과 1인당 국민소득 3만불시대에 도전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보면서 생각의 힘과 Can Do정신이 경쟁력이고 변화의 속도를 가속시키고 있음을 실감하게 한다. 그런데 우리지역인 경우는 어떠한가? 2005년도의 수출실적은 넙치 6.199만불 농산물 160만불 축산물 8만4천불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전국 대비 3000분지 1에 불과하다. 수출이 잘 안되는 원인을 생각하면 여러 가지로 착잡하게 한다. 농수축산물을 수출하기위해 출범한 (주)제주교역은 도 출자분을 회수하므로서 힘을 발휘하지못하고 있다.

주요한 수출품목인 돼지고기만 하더라도 일본이 년간 60만톤 100억불을 수입하고 있음에도 지구 반대편에 있는 미국 덴마크 카나다에 90%이상을 빼앗기고 있다 게다가 내륙지방에 구제역이나 AI가 발생했다. 청정한 제주도일지라도 예외 없이 수입이 금지되고 있다. 제주도의 대부분의 지표가 전국 1%는 유지되고 있는 데에 비하면 유독 수출만이 0.03%에 불과한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시급히 대처 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강원도인 경우 기후조건도 우리만 못하고 수출항인 부산, 마산항을 멀리두고 있으면서도 신선 채소류 화훼 불루벨리 등 농산물 2억불 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한편 지식산업에 눈을 돌려 하이테크 타운, 테크노 벨리, 사이언파크, 의료기기클러스터, 해양 생물 산업, 신소재산업, 생명건강산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우리도 못할 바가 아니다.

몇가지를 제안해 보면 첫째, 바다를 일구고 황무지를 개척한 제주도의 정신을 Can Do 정신운동으로 승화시키고 도민의 힘을 한데 모아 세계를 보다 넓게 높게 관찰하면서 기업하기 좋은 환경과 수출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둘째, 논쟁과 계획은 이제 그만하고 1차산업과 첨단제품의 가공수출을 위해서 이미 계획된 첨단과학단지와 제주공항 자유무역지대만이라도 조기에 완성 할 수있도록 중앙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

셋째, 삼다수를 청정 브랜드로 활용한 수출품을 생각할 때이다. 년간 564억불을 수입하는 세계 거대농업 시장인 일본을 공략하기위한 무농약 유기농산물의 수출전략을 수립하고 축산물이 수출재개를 위해 특별자치도 다운 행정력과 독립적인 대일 외교력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넷째, 소개와 신용을 중요하게 여기는 해외시장을 공략하는 데는 일등품을 만들기위한 R&D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고, 교포의 자본과 특별자치도와 대학연구소 생산 농민. 상공회의소, 중소기업자들과 협의체를 만들어 해외 바이어들에게 신용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해야 할 것이다.


전행정부지사 김 호 성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표선면 일대 교통안전 캠페인 전개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은 22일 오전 8시 서귀포시 표선면 일대(표선초·중·고등학교)에서 교통문화지수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번 캠페인은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 표선면사무소, 표선파출소, 표선초중학교 교직원 및 학부모회, 표선면 자생단체(주민자치위원회·이장단·자율방재단·새마을부녀회), 시니어클럽 등 민간치안협력단체 50여명이 참여했다. 표선초·중·고등학교 등교시간대인 오전 8시부터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안전수칙을 안내하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리플릿도 배부했다. 특히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는 올해 3월부터 서귀포경찰서와 긴밀히 협력해 서귀포시내 주요 도로와 교차로를 중심으로 음주운전 단속을 집중적으로 시행해 왔다. 5월부터는 표선면 등 시외지역으로 단속 범위를 확대해 농촌·관광지·외곽도로 등 사각지대 해소에 나서고 있다. 외곽지역에서의 음주운전은 단속 회피 심리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선제 대응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표선지역의 인구 유입 증가와 함께 IB 학교인 표선초·중·고등학교 학생 수(1,500여명)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해당 지역의 통학로 교통안전 확보 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