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물고기 사냥꾼이지만 불행한 '가마우지'

기름샘이 없어 '잠수의 명수'…성산일출봉에서 번식

 
긴목을 가진 검은색의 가마우지는 사람들로 하여금 큰 관심을 받지 못해 어쩌면 참 불행해 보이는 새일지도 모른다.

팔색조나 삼광조처럼 화려색이나 긴꼬리를 하지도, 저어새나 알락꼬리마도요처럼 부리가 특징이 있는 것도 아니며, 장다리물떼새와 같이 긴 다리를 뽐내지도 못한다.

새들은 온종일 날아다니며 고운 목소리로 노래를 하는데 가마우지는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

 
하지만 가마우지는 잠수(潛水)에 명수라서 ‘물고기 사냥꾼’ 이라고도 한다.

심폐기능이 좋아 잠수를 시작하면 1분에서 2분까지도 잠수하여 물고기를 잡아온다. 이런 뛰어난 물고기 잡는 실력은 다른 새에게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국의 계림지방과 일본에서는 가마우지를 포획해 물고기 사냥에 이용하기도 했다. 긴 목의 끝에 줄을 묶어 물고기를 잡더라도 삼키지 못하게 해 이를 다시 토해 내도록하는 방식으로 물고기를 잡은 것이다.

 
가마우지의 또 하나의 특징은 기름샘이 없다.

다른 종류의 새들은 꼬리쪽에 기름샘주머니가 있어 틈이 날때면 온 몸의 깃털에 기름을 바른다. 이는 깃털을 젖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주변에서 비가 오는 날 닭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비가 오는데도 먹이를 먹으러 다니는 닭은 빗방울이 도로롱 흘러 내려 깃털이 젖지 않는다. 수시로 기름샘 주변을 부리로 부벼 깃털에 바른 효과다.

하지만 가마우지는 기름샘이 없어 깃털이 물에 쉽게 젖는다. 해안가를 가다보면 날개를 펼쳐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흔들거리는 모습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물고기 사냥후 깃털을 말리고 있는 것이다.

기름샘이 없어 불편 할 것 같지만 가마우지에게는 오히려 다행스러운 일이지도 모른다. 그만큼 잠수에 오랜 시간을 할애 할 수 있는 것이다.

가마우지는 훌륭한 잠수능력과 긴목이 오히려 형벌이 돼 목구멍까지 삼키었던 먹이를 인간을 위해 다시 토해내야만 하고, 그 댓가로 적은 먹이를 구걸 하며 살아가야만 했던 가슴 아픈 새이다.

 
가마우지는 몸크기는 약 82cm, 양쪽날개의 길이는 약 130cm로 중, 대형의 잠수성 물새류로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번식지는 인적이 드문 해안 절벽이나 무인도에서 하며 제주에서는 성산일출봉 절벽에서 번식한다.

황새목 가마우지과로 우리나라에서는 민물가마우지외에 가마우지, 쇠가마우지, 붉은뺨가마우지 등 3종의 가마우지류가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시 자율방재단 기동대, 첫 공식 활동 돌입
서귀포시는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등 재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구성된 자율방재단 기동대가 지난 6월에 발대식을 마치고, 7월 6일 첫 공식 활동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활동은 폭염특보가 발효된 동부지역(성산·표선)을 중심으로 드론 4대와 기동대원 20여 명이 투입되어 야외 농작업장과 밭작물 재배지 등 폭염 취약지역에 대한 집중 예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민과 관광객의 건강 보호를 위해 무더위쉼터의 냉방기 가동 상태 점검과 폭염 행동요령 홍보도 병행하여, 무더위쉼터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도모하였다. 올해 처음으로 운영되는 서귀포시 자율방재단 기동대는 동부·중부·서부 권역별 15명씩 총 4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드론·무선통신 등 전문자격 보유자와 방재단 활동 우수자를 중심으로 선발되었다. 기동대는 재난 발생 시 권역별 초동조치 및 신속대응, 응급복구, 그리고 과학기술 기반의 재난 예찰 및 훈련을 수행하게 된다. 서귀포시는 지난 6. 30. 폭염특보가 제주도 전지역(산지, 추자도 제외)으로 확대됨에 따라 폭염 대응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중에 있으며, 폭염저감시설 운영‧독거노인 등 폭염취약계층 안전관리‧ 농수축산업 피해예방을 위한 현장점검반 운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