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이제는 뭉쳐야 살고 실천해야 제값을 받을 수 있다.

 
농산물의 수요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르고, 생산은 자연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맛과 양에 따라 가격이 매우 안정적이지 못하다.

또한 영세한 생산 규모와 복잡한 유통경로는 많은 유통비용을 유발하게 되며, 농산물의 특성상 수요와 공급의 비탄력성으로 인해 적정 물량에서 약간의 과부족이 생겨도 가격의 등락폭은 매우 커지게 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농산물이 공급 과잉생산체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대형 유통업체의 확산 및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등 급변하는 유통환경에서 제주농산물의 살아남기 위하여는 농특산물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 제고를 위한 생산자의 품질향상과 기술개발, 소비자의 신뢰확보와 가격차별화를 도모해야 한다.

또한, 농산물 과잉 생산에 따른 수요처 확대를 위해서는 도내 대량 소비처(호텔, 콘도 등)와 연계하여 필요한 농산물 생산·공급을 통하여 유통비용을 줄여나가면서, 생산지에서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제주농산물의 특성(비옥한 토양, 깨끗한 물, 맑은 공기, 농민들의 정성)을 먼저 홍보하여야 한다.

우리도에서 생산된 감귤 등은 도내 어느 지역을 가든 맛있고 육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촉진과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올해 감귤이 적게 생산되어 해거리로 인하여 내년도 감귤 과잉생산이 예상됨에 따라 내년도 7월말 이전에 감귤열매를 전부 따내고 여름순을 발생시켜 이듬해에 상품규격의 좋은 감귤을 결실시켜서 소득을 많이 올리 수 있는 “고품질감귤 안정생산 직불제”사업과 폐원, 1/2간벌 등으로 12만톤을 줄여 적정생산을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고품질감귤 안정생산을 위하여 우량품종갱신사업, 고당도 과실생산자재 지원사업, 방풍망시설 지원사업 등에 많은 지원을 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있어도 감귤재배 농업인들이 실천하지 않으면 성과를 거둘 수가 없으므로 감귤재배농업인 모두가 직불사업, 폐원, 간벌 등 감산정책에 적극 동참하여 20%정도 생산량을 줄인다면 올해와 같이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제는 모든 농산물을 생산하기 전에 유통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물건을 생산해도 출하량이 많고, 팔아먹는 기술이 없으면 제값을 받을 수가 없다.

한림농협에서 추진하고 있는 양배추 매취사업을 거울삼아 우리 모두가 기존의 인식과 사고의 틀을 넘어서 감귤재배 농업인 모두가 뭉치고 실천할 때 감귤은 제값을 받을 수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정책과 과수지원담당 전 병 화.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시, 공중이용시설 점검으로 중대시민재해 예방
제주시는 공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제주종합경기장을 비롯한 25개소에 대해 안전보건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중대시민재해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중이용시설 등의 관리상의 결함으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이번 점검은 제주시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 185개소 중 체육시설 등 주요 시설 25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주요 점검 사항은 ▲안전보건 관리체계, ▲공중이용객 측면의 유해·위험 요인, ▲재해 발생 시 비상대응체계 등이다. 점검 결과, 확인된 유해·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개선 조치를 요청하고 안전보건 관리 및 비상대응 체계 등 보완이 필요한 경우 시정을 요구하여 개선 결과까지 확인할 계획이다. 제주시는 매년 공중이용시설의 현황을 전수조사하여 중대시민재해 대상 공중이용시설을 지정하고 있으며, 올해 지정 시설은 도로·교량, 체육시설 등 185개소다. 아울러,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정밀안전진단 등 시설물 안전 점검의 누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기별․관리부서별 자체 점검도 실시해 오고 있다. 박기완 안전총괄과장은 “철저한 시설 관리로 시민과 관광객의 안전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