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하얀 색의 청렴함을 상징하는 '백로'

흰색이어서 우리민족의 사랑을 받아 온 행복한 새

 
우리한국 민족은 흰 옷 입기를 좋아 했다.

흰옷을 언제부터 즐겨 입기 시작되었는지 자세히는 알 수는 없지만 중국 문헌인 ‘위지(魏志)’에 의하면 부여시대의 사람들이 이미 흰 옷을 입고 있었다고 한다.

흰옷을 애용하게 된 것은 태양숭배의 원시적 신앙에 의해 그 광명의 상징인 흰 빛을 숭상했기 때문인 것 같다.

우리 민족이 백의민족임을 특별히 강조된 것은 일제강점기로서 그것은 우리를 지배하고 억압하던 일본인의 옷이 무색옷이기 때문에 그와는 대조적인 백의를 항일정신의 상징으로 더욱 강조됐다.

그러나 흰 옷의 착용이 경제적인 면에서는 반드시 바람직한 의복제도가 아니기 때문에 1894년(고종31)의 갑오개혁 이후부터는 색상이 있는 의복의 착용이 장려됐으며, 1906년(고종 광무 10)에는 법령으로 흰 옷의 착용을 금지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관청에서 반강제로 흰옷의 착용을 금지하기도 했으나 도리어 일반민중의 반감만 샀을 뿐 색의 착용이 정착되지 못했다.

그러나 8·15광복 이후부터는 관청에서 백의착용을 금지하지 않았으나 자연스럽게 색의를 많이 입게 됐다.

우리민족은 흰색에 대한 경외감을 가지고 있다.

광명의 흰 빛을 숭상하며 불사불멸의 능력을 향유하고픈 염원을 항상 마음에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흰색의 동물들까지도 아주 귀한 대접을 받게 됐는데 간혹 메스컴에 흰사슴이 태어나서 나라에, 아니면 그 지방에 좋은 징조라고도하여 반긴다.

뱀을 싫어하기도 하지만 흰색의 뱀이 발견되면 백사라 해 귀하게 여기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우리선조들은 시조에서 백로를 얘기한 작품들을 많이 남겼다.

가마귀 검다하고 백로야 웃지마라
것치 거믄들 속조차 거믈소야
아마도 겉 희고 속 검을슨 너뿐인가 하노라


태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직(李稷)의 작품이다.

이 시조는 고려 유신(遺臣)으로서 조선의 개국 공신이 된 작자가 자신의 처세를 변호한 노래이다.

이 시조에서는 구차하게 연명하면서 남을 비방하는 무리를 비유적으로 힐책하고 있으며, 작자 자신의 결백을 변호하고 있다.

 
'빛좋은 개살구'라는 속담처럼, 겉으론 군자인 체 하면서도 실제는 그렇지 못한 인간들, 겉으론 우국지사(憂國之士)인 듯 하면서도 속은 그렇지 못한 위선자들을 까마귀와 백로의 예를 들어 풍자하고 있다.

가마귀 디디는 곧애 백로야 가지마라
희고 흰 긷헤 검은 때 무칠셰라
진실로 검은 때 무티면 씨을 길히 업사리라

-선우당 이씨


까마귀 싸우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
성낸 까마귀들이 너의 흰빛을 시샘하나니
맑은 물에 깨끗이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

-이약녀 (정몽주 어머니)


포은 정몽주가 이성계의 병 소식을 들은 후 문안을 드리려 가려고 하자 간밤의 꿈이 흉하니 가지 말라고 말리면서 이를 불렀다 한다.

정몽주는 결국 끝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그 유명한 살생부의 이방원이 보낸 자객 조영규에게 피살되었고 그곳이 바로 지금의 선죽교이다.

 
하얀 색의 청렴함을 상징하는 새가 있다.

그 새가 바로 백로이다.

백로를 예전에는 해오라기라고도 했다지만 지금의 해오라기는 하얀색이 아니라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는 새이다.

하야로비, 해오라비, 해오리 등으로 말하는 희다의 뜻에서 명칭이 있었으나 지금은 다른 종의 새를 일컫는 명칭이 됐다.

 
백로는 하얀색으로 비슷하지만 쇠백로, 중대백로, 황로, 흑로, 노랑부리백로 등이 같은 종으로 나뉘고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쇠백로가 있으며, 백로류 중에 가장 크기가 작으며 부리와 다리는 검고 노란색이어서 별명이 ‘노란 장화를 신은 백로’라고 한다.
황로는 여름철새로 겨울이면 볼수가 없다.

노랑부리백로는 천연기념물 361호로 지정돼 멸종위기종으로 이동시기에 간혹 제주에서 볼수 있기도 하다.

대부분의 백로는 봄이면 찾아와 여름에 번식을 하고 가을이면 대만, 필리핀등지로 내려가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다시 찾아온다.

우리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백로는 제주 해안가와 물이 있는 저수지, 웅덩이 가릴것 없이 어디서든지 활동 한다.

몸 전체가 흰색이라는 이유로 우리 민족의 사랑을 넘치도록 받아온 아주 행복한 새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인공지능 적용 무인 순찰드론 개발 착수
제주자치경찰위원회가 도민 안전을 위한 자치경찰사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미래 과학치안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제주자치경찰단과 협력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치안 드론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제주자치경찰위원회는 지난 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사업」공모에 사업수행기관으로 선정 되어 국비 8억, 도비 2억 등 총 10억원을 확보, 지난 14일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치안드론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이번에 개발하는 치안 드론은 열화상 촬영, 자율비행, 자동 이착륙 등 첨단기능이 내장되며, 관제차량은 드론을 탑재하고 이동할 수 있는데 회의실, 통합관제실을 갖추고 있어 다중운집행사 관리, 재난상황 대응, 이동식 치안센터 운영 등 다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드론을 운용하는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사람이 드론을 직접 조종하고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방식인데, 이번에 도입되는 시스템은 미래치안의 추세에 맞춰 인력을 최소화 하고 무인화, 자동화된 방식이 특징이다. 특히 기존 경찰인력에 의한 실종자 수색, 인파밀집 행사관리, 주취자 및 요구조자 보호, 농산물 절도 적발 등 다양한 치안기능을 AI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