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축산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냄새로 인해 인근 지역주민들이 악취민원을 제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악취민원이 증가된 이유는 축산농가의 전업화,규모화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서 사육두수와 규모가 증가된 것과 더불어 일반 대중의 쾌적한 삶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예로‘06년 4302건이였던 전국 악취민원 발생 건수가 ’07년에는 4797건으로 11.5%나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도에서도 매년 악취민원 건수가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축산사업장에서 발생된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도에서는 그간 여러 가지 지원과 사업을 시행해왔으며, 특히 하절기 악취민원 집중 발생을 고려하여 사업장 대청결명령과 더불어 농장주의 자발적인 환경의식을 고취시키고자 축산환경개선교육 실시 등의 악취저감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냄새민원 다발 축산사업장에 관계 공무원을 파견하여 상주 근무하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 밀착형 행정시책도 축산농가의 자주적인 의식전환과 이행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지역 주민들의 냄새민원 해소라는 궁극적인 목표는 요원하기만 할 것이다. 축산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실용 기술이 부족하다는 축산농가의 볼멘소리를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오염행위자 부담원칙을 농가 스스로 인식하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냄새저감 기술들을 병행하여 악취발생을 최소화시키고자 노력하는 모습과 나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을 느끼고 있으므로 냄새문제를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는 지역공동체 의식을 생각한다면 냄새민원 해소가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다.
근래 들어 아무도 고마워하지 않는 공무원이라는 말을 부쩍 듣고 있다. 축산업계에서는 어려운 대외현실과 축산사업장 냄새발생 저감을 위한 실용적인 기술이 부족한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지도․단속만 강화한다며 불평하고, 지역 주민들은 냄새로 인한 생활불편이 해소되지 않는다며 질타가 끈이지 않고 있다. 비록 어느 누구에게도 격려의 말 한마디나 따뜻한 위로를 받지 못하고 길 없는 숲을 걷고 있는 것 같지만 그래도 누군가는 숲풀을 해치고 나가야 하기에 그저 묵묵히 걸어갈 뿐이다.
제호 : (주)이슈제주 | 인터넷신문 등록 제주 아-01005호 | 등록일 2006년 4월 4일 | 사업자등록번호 616-81-55901 창간일 2006년 4월 7일 | 발행인/편집인 고창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고창일 010-6742-6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329 203동 203호 | Tel (064) 757-1442 Fax (064) 757-1443 E-mail : issuejeju@issuejeju.com ㅣ Copyright ⓒ 2010 (주)이슈제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