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8.8℃
  • 맑음강릉 12.7℃
  • 맑음서울 8.6℃
  • 맑음대전 10.5℃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11.6℃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2.7℃
  • 맑음고창 11.9℃
  • 구름조금제주 15.2℃
  • 맑음강화 7.8℃
  • 맑음보은 10.2℃
  • 맑음금산 10.7℃
  • 맑음강진군 13.5℃
  • 맑음경주시 11.8℃
  • 맑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서귀포예술의전당 겨울 명작 발레 <호두까기 인형> 공연

서귀포예술의전당은 오는 125() 오후 7시와 126() 오후 2, 이틀간 대극장에서 발레 <호두까기 인형> 공연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공연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5년 공연예술유통지원사업 선정작으로, 서귀포시와 서울발레시어터(단장 최진수)가 공동 주관한다.

서귀포예술의전당은 2025년 한 해 동안 공연예술유통지원사업’ 4건과 국립예술단체 지역전막공연’ 1건 등 총 5개 작품에 선정되어, 총사업비 48,200만 원 규모로 지역민에게 고품격 공연을 선보였다.

발레 <호두까기 인형>은 그 가운데 연말을 장식하는 마지막 공연으로,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한 해를 마무리하는 예술적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차이콥스키의 3대 명작 발레 중 하나인 <호두까기 인형>1892년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아온 겨울 시즌 대표 작품이다.

 

이번 무대에서는 익숙한 고전을 한국적 감성과 결합해 새롭게 재해석, 한층 경쾌하고 생동감 넘치는 연출로 관객을 만난다.

서울발레시어터의 <호두까기 인형>은 느릴 수 있는 장면의 템포를 조절하고, 화려한 군무와 절묘한 장면 전환, 서정적인 감정선을 더해 가장 한국적인 클래식 발레로 평가받는다.

특히 클라라와 왕자를 위한 환영식 장면에서는 장구와 소고 가락이 어우러진 한국춤이 등장하고, 조선시대 왕비 복장과 한복 차림의 아이들이 상모를 돌리며 무대에 활력을 더한다.

 

관람은 48개월 이상부터 가능하며, 입장권은 R25,000, A20,000, B15,000원이다.

문화취약계층(무료관람)1111()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화 접수를 통해 예매할 수 있으며, 일반 관객은 1113() 오전 10시부터 서귀포e티켓을 통해 온라인 예매가 가능하다.

 

서귀포예술의전당 관계자는 서울발레시어터의 <호두까기 인형>은 예술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무대로, 서귀포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겨울의 낭만과 따뜻한 감동을 함께 느끼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홈페이지 https://culture.seogwipo.go.kr/artcenter/index.htm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