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립극장X제주아트센터, 무장애 음악극 <나는 재미있는 낙타예요>

제주아트센터는 928()~29() 이틀간 헬렌 켈러(헬렌) 그의 스승 앤 설리번(애니)의 실화를 그린 음악극 <나는 재미있는 낙타예요>를 한글 자막, 음성해설, 수어 통역을 제공하는 무장애(배리어프리, Barrier free) 공연으로 개최한다.




음악극 <나는 재미있는 낙타예요>는 연극과 뮤지컬을 넘나들며 감각적인 시선이 돋보이는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창작집단 LAS 대표 이기쁨이 연출하고, <우투리: 가공할 만한> 작가 홍단비가 극본을 맡았다.


이 작품은 지난해 서울 국립극장에서 초연한 작품으로 올해 지역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2024<찾아가는 국립극장>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제주아트센터 무대에 오른다.


공연은 생후 19개월에 시력과 청력을 잃은 헬렌과 8살에 시력을 잃고 여러 아픔을 극복한 애니가 스승과 제자로 만나 친구이자 인생의 동반자로 평생을 함께하는 과정을 두 마리 낙타에 빗대 그려낸다.


사막의 더위에 서로에게 기대 체온을 내리는 낙타들처럼 두 사람이 서로 연대하고 성장해 나가는 이야기를 애니의 시점을 통해 다채롭게 풀어내며 우리 모두에게 삶의 용기와 긍정의 에너지를 전한다.




무대 위에는 단 두 명의 배우가 애니와 헬렌, 주변 인물을 연기하고 노래한다.

 

배우 겸 작가로 활동하는 한송희가 애니 역을, 배우이자 소리꾼인 정지혜가 헬렌 역은 물론 작창까지 맡아 2극의 묘미를 살린 생동감 넘치는 연기를 펼친다.


여기에 김솔지(타악), 심준보(전자음악), 양성태(고수), 전경호(마림바) 4명의 연주자가 함께 무대에 올라 작품을 풍성하게 채운다.


앞서 무장애 공연 <>를 선보였던 국립극장은 이번 무대에서도 그림자 수어 통역은 물론 수어, 촉지화를 활용한 움직임, 미세한 감정을 담은 감각적인 영상과 자막 연출 등으로 무장애 공연의 완성도를 한 차원 높였다.


관람료는 전석 2만 원으로 초등학생 이상 관람할 수 있으며, 830 오후 2시부터 제주아트센터 누리집(www.jejusi.go.kr/acenter/index.do)에서 예매할 수 있다.

 

강중열 제주아트센터 소장은 헬렌과 애니가 함께 장애를 극복하고 성장하는 감동의 이야기를 보이는 소리들리는 움직임으로 표현한 무장애 음악극을 통해 문화 향유의 사각지대에 놓인 다양한 계층이 함께 즐길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보건소, 8월 한 달간 미용 목적 불법 광고 집중 점검
제주보건소는 오는 8월 1일부터 29일까지 미용 목적의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대상으로 ‘온라인 불법 의료 광고’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여름철 방학과 휴가 시즌을 맞아 미용 시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SNS·블로그·인터넷 카페 등 온라인상에서 전파력이 높은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미용·성형 관련 정보는 소비자가 커뮤니티 후기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고, 입소문을 가장한 바이럴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소비자 혼란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주요 점검 항목은 ▲자발적인 후기를 가장한 체험담 형태의 광고, ▲비급여 진료비의 과도한 할인·면제 광고, ▲객관적 근거 없이 치료효과를 과장하는 광고, ▲불법 소개·알선·유인 의심 사례 등이다. 점검 과정에서 ▲체험단·협찬 치료경험담, ▲비급여 과다 할인 이벤트, ▲환자 유인 등의 의료법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정 조치하고, 시정이 되지 않거나 위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해당 의료기관 또는 비의료인에 대해 고발 등 강력한 조치를 병행할 방침이다. 제주보건소는 올해 상반기 총 116건의 의료법 위반 의심 광고를 점검해 이 중 86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