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제4대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11차 위원회의 개최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공동위원장 양문석 제주상공회의소 회장, 김성중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2023220() 11시에 지자체 및 도내 산업계, 노동계, 교육계, 정부기관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4대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11차 위원회의를 개최하였다.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는 지역 산업계가 주도하고 노···정이 협력하는 새로운 인력양성체계 구축 방안으로서 201412월에 출범하여 기업 및 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 육성과 지역 일자리 창출, 고용현안 논의를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 회의에서는 2022년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업 보고 2023년 제주지역혁신프로젝트 사업계획 보고 2023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지원대상 및 육성산업·직종 선정과 특별분과위원회 구성() 대하여 의견을 나누었다.

 

2022년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업 보고에서 인력양성팀은 총 24회의 위원회 운영성과가 있었으며, 교육훈련실적은 3개 공동훈련센터에서 1,663명을 대상으로 41개 과정을 운영해 99.7%(수료생 1,658)의 수료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일자리창출팀은 2023년 제주지역혁신프로젝트 사업계획으로 제주상공회의소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 제주관광공사 제주테크노파크 제주산학융합원 사회적협동조합 제주내일 인화로 사회적협동조합 등 7개 기관이 참여해 미스매칭 해소와 미래대응력 강화를 통해 함께 가는 일자리 확산이라는 비전으로 3개 프로젝트 10개 세부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는 2023년 제주지역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사업수행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대상자 400명에 대해 노동이동 및 고용유지 등을 위한 훈련과정을 발굴·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번 회의에서는 특화훈련을 위한 지원대상 및 육성산업·직종 선정(), 훈련과정에 대한 의결권을 부여받은 특별분과위원회 구성()에 대한 의결이 진행됐다.

 

제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양문석 공동위원장은 전국적인 산업구조 변화 흐름에 따라 제주도정에서는 UAM, 그린수소 등 신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경제가 변화와 혁신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제주에 필요한 인재들이 양성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자치경찰단, 주민과 손잡고 아이들 통학길 안전 지킨다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은 새 학기를 맞아 주민봉사대와 함께 초등학교 주변 교통사고 예방 캠페인과 노후 시설물 안전 점검을 합동으로 추진한다. 올해 도내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4건(5월 기준) 발생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며, 자치경찰단은 어린이 사고를 한 건이라도 줄이기 위해 홍보 활동과 시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37개교에 약 5억 원을 투입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옐로카펫, 노란색 횡단보도, 신호등 설치·개선으로 시인성 강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주민자치경찰대와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합동 캠페인을 전개하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올바른 보행 지도, 불법 주정차 금지, 시속 30km 준수 등 어린이 우선 보호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캠페인은 지난 1일 송당초·애월초를 시작으로 10일 함덕초 선인분교, 16일 선흘초, 19일 대흘초에서 순차적으로 열리며, 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위한 교통지도 활동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학교 주변 신호등,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가로등, 펜스, 비상벨 등 노후 시설물 점검도 병행해 위험 요인이 발견되면 즉시 보수·개선을 요청하고, 안전신문고 앱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