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청 보리가 익어가는 섬 속의 동화마을 가파도를 아시나요!

청 보리가 익어가는 섬 속의 동화마을 가파도를 아시나요!

 
서귀포 서쪽 끝자락 모슬포 항에서 뱃길로 20여분 가다보면 남북과 동서방향으로 길쭉한 가오리 모양을 하고 있는 섬 속의 섬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설촌 당시 “더우섬” 또는 “개파도”라 불리었다는 가파도다.

섬 이름만 들어도 정겨움이 묻어나는 가파도는 남북간의 거리가 1.4km이고 동서길이가 1.5km로 자그마한 섬이지만 그 곳엔 가파도만의 매력을 가지고 있다.

비록 콘테이너 하나 덜렁 있는 작은 선착장이지만 누구든 섬 안에 발을 들어놓는 순간부터 가파도의 독특한 매력에 빠져든다. 물 속 깊숙이 바닥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청정한 해안부터가 찾는 이들의 마음을 들뜨게 한다. 더군다나 근해에서 물결을 헤치며 물질하는 해녀들의 자막질은 내리쬐는 반짝 햇살 조명과 함께 민속 공연을 방불케 할 만큼 또 하나의 흥미로움을 전해준다.

가파도에는 청정한 바다만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청정한 해풍을 벗 삼아 청 보리가 익어가는 사월과 오월이 가파도 매력의 최대 절정기다.

가파도에 청 보리밭이 있다는 것을 제주사람도 아는 이는 별로 없다.
사월이 되면 섬 전체가 청 녹색 물결로 장관을 이룬다. 0.8㎢ 섬 전체가 푸른 청정 바다색과 함께 어우러진 청 보리의 녹색 향연으로 동화 속의 섬으로 변신을 꾀하며 사람들을 유혹한다. 그 아름다움은 노을과 함께 그 절정이 극에 달해 보는 이들로 하여금 탄성이 절로 나온다.

가파도 청 보리 줄기는 보통사람의 가슴까지 올라올 만큼 크다는 게 특징이다. 품질이나 친환경 측면에서 줄기가 낮은 육지부 보리는 비할 바 못된다. 그래서 그런지 드넓은 광야에서 누구를 부르는 소리를 내며 해풍에 흔들리는 청 보리 웨이브는 보는 이들로 하여금 더 한층 구수한 감동을 느끼게 한다.

남쪽으로는 마라도가 북쪽으로는 한라산을 등진 산방산과 송악산이 한눈에 들어서는 청 보리가 익어가는 아름다운 동화 속의 섬 가파도. 그 곳에선 이제 사람들을 맞을 채비를 하고 있다. 이제는 더 이상 변방의 외로운 섬이 아닌 누구나가 찾고 싶어 하고 가고 싶은 섬으로 변신하고 있다.

이 봄이 가기 전에 가파도를 찾아가 보자. 마음 맞는 지인들과 함께 청정한 해산물을 시식하며 청 보리밭 사이 길에서 붉게 물든 저녁놀의 장관을 느껴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청 보리가 익어가는” 섬 속의 섬 가파도에서 부는 바람이 청정한 해풍을 타고 멀리 멀리 날아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서귀포시 자립마을육성팀 자립마을육성담당 정윤창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안전하고 깨끗한 제주바다 위한 협력체계 본격화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의회, 제주해경이 안전하고 깨끗한 제주바다를 만들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제주도는 9일 오전 도청 삼다홀에서 제주도의회, 제주지방해양경찰청과 ‘더욱 안전하고 깨끗한 제주바다 만들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 박상춘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등 협약기관 주요 관계자 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해마다 늘어나는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또한 제주바다의 세계적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청정해역을 조성하기 위한 기관간 실질적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뒀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해양사고 예방 및 대응, 해양환경 보전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상호 협력을 위해 연 1회 정책간담회를 개최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은 별도 실무협의를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바다는 도민들의 생계수단이자 삶의 터전이며, 관광객에게 아름다움을 선물하는 대표 관광자원”이라며 “국가적 자산인 청정 해역을 보존해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물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의회, 해양경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