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봄 옷으로 갈아입는 바다직박구리

번식 위해 화려한 옷으로 갈아입는 수컷…번식의 시즌

 
봄을 알리는 매화가 피기 시작하고 유채와 벛꽃이 온세상을 덮을 듯이 우리의 주변을 장식 하고 있다.

찬바람이 물러가고 꽃이 피고 화려해지면 자연의 생태는 빠른 속도로 변한다.

조류들 역시 마찬가지로 겨울철에는 깃의 조금은 볼품이 없어졌다가 요즘은 화려한 새 옷으로 갈아 입고 있다.

대부분의 새들은 여름깃, 즉 번식깃으로 변하는데 내가 제일 관심이 있는 저어새도 겨울이면 온몸이 하얀색으로만 치장 했다가 요즘 따뜻한 바람이 일기 시작하자 머리의 장식깃이 노랗게 변하며 가슴 또한 화려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바다직박구리는 암수가 확연히 구분이 된다.

대체로 야생의 세계에서의 동물이나 조류들은 수컷의 깃이나 털이 화려하다. 아마 암컷을 유혹 하려는 것으로 파악된다.

바다직박구리의 전체의 크기는 약 25cm정도. 수컷은 색상이 화려해 몸의 윗면과 멱·윗가슴은 잿빛이 도는 파란색이고 가슴 이하 아랫면은 진한 밤색으로 제주의 돌담에 앉은 모습은 어디에 내 놓아도 떨어지지 않는 화려함을 자랑한다.

반면 암컷은 수수한 편으로 몸의 윗면은 잿빛이 도는 갈색이며 아랫면은 연한 갈색 바탕에 갈색 가로무늬가 비늘모양으로 나 있다. 부리는 수컷이 검은색, 암컷이 갈색이다.

 
서식 환경은 제주의 해안가 어디서나 볼수 있으며 특히 애월읍 구엄 해안가 적벽이나 송악산 인근 바다, 동쪽으로는 성산이나 하도 해안가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 할 수 있으며 간혹 도시에서 공사장의 담벼락에서도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사는 집의 지붕 위에도 곧잘 앉아 울며, 암컷도 수컷과 비슷하게 울 때가 있다.

해안가의 암벽이 갈라진 곳이나 암초의 틈, 벼랑의 빈 구멍 또는 건축물 틈새에 가는 나무뿌리나 마른 풀을 사용해 둥지를 튼 다음 4월부터 한배에 5∼6개의 알을 낳는다.

이때부터 야생의 세계는 2세를 위한 준비를 시작하게 된다. 암컷을 유혹(?) 하기 위해 몸을 치장하게 되고 소리 높여 노래를 불러 둥지를 짓기 시작하고 있는 무렵인 것이다.

 
번식의 성공을 위해서는 많은 위험이 따르게 되다. 천적으로부터의 방해와 환경, 무엇보다도 인간의 접근도 무시 할 수가 없다.

바닷가 갯바위 틈에 둥지를 많이들 틀게 되는데 제주의 해안가는 거의 해안도로가 개설 돼 있어 둥지를 틀 장소를 물색 하기가 쉽지 않다.

해안도로 덕분에 바다를 찾는 사름들은 수월하게 바다에 접근 할수 있지만 새들에게는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관광객과 낚시꾼들의 접근으로 실패할 확률이 어느때보다더 열악해지는 환경이지만 이번 여름에는 많은 수의 바다직박구리 부부가 2세를 얻을수 있기를 기원해 본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