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봄 옷으로 갈아입는 바다직박구리

번식 위해 화려한 옷으로 갈아입는 수컷…번식의 시즌

 
봄을 알리는 매화가 피기 시작하고 유채와 벛꽃이 온세상을 덮을 듯이 우리의 주변을 장식 하고 있다.

찬바람이 물러가고 꽃이 피고 화려해지면 자연의 생태는 빠른 속도로 변한다.

조류들 역시 마찬가지로 겨울철에는 깃의 조금은 볼품이 없어졌다가 요즘은 화려한 새 옷으로 갈아 입고 있다.

대부분의 새들은 여름깃, 즉 번식깃으로 변하는데 내가 제일 관심이 있는 저어새도 겨울이면 온몸이 하얀색으로만 치장 했다가 요즘 따뜻한 바람이 일기 시작하자 머리의 장식깃이 노랗게 변하며 가슴 또한 화려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바다직박구리는 암수가 확연히 구분이 된다.

대체로 야생의 세계에서의 동물이나 조류들은 수컷의 깃이나 털이 화려하다. 아마 암컷을 유혹 하려는 것으로 파악된다.

바다직박구리의 전체의 크기는 약 25cm정도. 수컷은 색상이 화려해 몸의 윗면과 멱·윗가슴은 잿빛이 도는 파란색이고 가슴 이하 아랫면은 진한 밤색으로 제주의 돌담에 앉은 모습은 어디에 내 놓아도 떨어지지 않는 화려함을 자랑한다.

반면 암컷은 수수한 편으로 몸의 윗면은 잿빛이 도는 갈색이며 아랫면은 연한 갈색 바탕에 갈색 가로무늬가 비늘모양으로 나 있다. 부리는 수컷이 검은색, 암컷이 갈색이다.

 
서식 환경은 제주의 해안가 어디서나 볼수 있으며 특히 애월읍 구엄 해안가 적벽이나 송악산 인근 바다, 동쪽으로는 성산이나 하도 해안가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 할 수 있으며 간혹 도시에서 공사장의 담벼락에서도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사는 집의 지붕 위에도 곧잘 앉아 울며, 암컷도 수컷과 비슷하게 울 때가 있다.

해안가의 암벽이 갈라진 곳이나 암초의 틈, 벼랑의 빈 구멍 또는 건축물 틈새에 가는 나무뿌리나 마른 풀을 사용해 둥지를 튼 다음 4월부터 한배에 5∼6개의 알을 낳는다.

이때부터 야생의 세계는 2세를 위한 준비를 시작하게 된다. 암컷을 유혹(?) 하기 위해 몸을 치장하게 되고 소리 높여 노래를 불러 둥지를 짓기 시작하고 있는 무렵인 것이다.

 
번식의 성공을 위해서는 많은 위험이 따르게 되다. 천적으로부터의 방해와 환경, 무엇보다도 인간의 접근도 무시 할 수가 없다.

바닷가 갯바위 틈에 둥지를 많이들 틀게 되는데 제주의 해안가는 거의 해안도로가 개설 돼 있어 둥지를 틀 장소를 물색 하기가 쉽지 않다.

해안도로 덕분에 바다를 찾는 사름들은 수월하게 바다에 접근 할수 있지만 새들에게는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관광객과 낚시꾼들의 접근으로 실패할 확률이 어느때보다더 열악해지는 환경이지만 이번 여름에는 많은 수의 바다직박구리 부부가 2세를 얻을수 있기를 기원해 본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광서리 부회장 침착한 판단과 행동으로 위급상황 시민 구조
서귀포시 안덕면에 거주하는 이경봉 씨는 지난 27일(월) 22시경 인근 식당이 장기간 문을 열지 않는 것을 보고 수상히 여겨 업주에게 직접 연락을 취했다. 통화 과정에서 평소와 달리 어눌한 말투와 의식 저하로 보이는 이상한 반응을 느낀 이 씨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닌 응급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해 곧바로 119에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서귀포소방서 안덕119센터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해 업주의 상태를 확인, 신속히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다. 조치가 지체됐다면 중대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으나, 이 씨의 침착한 판단과 빠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이경봉 씨는 서광서리 마을 부회장으로서, 평소에도 지역 내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을 자주 살피며 마을의 수호자로 통하며, 주민들은 “언제나 이웃의 일에 먼저 나서는 든든한 분”이라며 깊은 신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이번 사례는 일상 속 관심과 행동이 생명을 지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시민 안전 실천 사례로 평가된다. 안덕면 일대에서는 “이웃 간의 따뜻한 눈길 하나가 안전망의 시작”이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안덕면 관계자는 “이경봉 부회장의 침착하고 적극적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