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6.2℃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5.9℃
  • 맑음대전 6.5℃
  • 맑음대구 10.3℃
  • 맑음울산 9.4℃
  • 맑음광주 10.9℃
  • 맑음부산 10.3℃
  • 맑음고창 8.9℃
  • 구름많음제주 15.1℃
  • 맑음강화 5.6℃
  • 맑음보은 6.8℃
  • 맑음금산 5.9℃
  • 맑음강진군 11.3℃
  • 맑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KBS 교향악단 제주초청공연 “제주의 봄”, 제주아트센터

제주아트센터 특별기획 프로그램으로 KBS 교향악단과 세계무대에서 활동하는 제주음악가의 합동 공연인 “제주의 봄”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창단 62년을 맞이하는 아시아 정상의 오케스트라 KBS 교향악단과, 세계 클래식시장의 메인무대인 유럽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제주음악가의 협연무대로 기획하였다. 주인공은 소프라노 강혜명, 제주에 정착한 유럽에서 활동하는 테너 김석철, 바이올리니스트 신동으로 알려진 김윤희이다. 



 
공연 프로그램은로는 비제의 카르멘 서곡을 시작으로,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 우리귀에 익숙한 테너‘오솔레미오’와 ‘돌아오라 쏘렌토로’를, 소프라노‘연꽃 만나고 간 바람같이’(김주원), ‘나 이제 멀리 떠나가리’(오페라 La Wally 중), 듀엣곡으로 레하르의 ‘그대는 나의 모든 것’을 들려준다. 마지막으로 슈만의 교향곡 1번 “봄”이 연주된다.
 
소프라노 강혜명과 바이올리니스트 김윤희는 제주출신으로 세계무대를 누비고 있는 정상의 음악가이다. 김윤희는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역사상 최연소 입학한 바이올리니스트 신동으로 알려져, 8세 때 우크라이나 키예프 국립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이 CNN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오스트리아 빈국립음대를 졸업(석사)하여 유럽에서 활동 중이다. 

 소프라노 강혜명은 2018년 5∼6월 이탈리아 3대 오페라극장인 산 카를로 오페라극장과 베르디 트리에스테극장에서 <라 트라비아타 : 비올레타 역> 성공적으로 공연하여 극찬을 받은바 있고, 십여년동안 제주지역의 주요 음악회와 오페라 공연에 출연하면서 지역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2019년까지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주요도시에서 다양한 오페라 공연이 예약되어 있다.
 
테너 김석철은 서울대학교 재학시 중앙음악콩쿠르 1위 등 다양한 콩쿠르에 입상하였고, 도미하여 커티스 음대에서 오페라과 석사를 취득하였다. 이후 미국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콩쿠르(필라델피아 지역예선) 1위 등 국제콩쿠르 입상 후 2003년부터 2011년까지 독일 도르트문트극장의 전속 주역가수로 활동하였고, 2017년에 부부와 함께 제주로 이주하면서 현재는 제주와 유럽을 오가며 활동 중이다.
 
특히, 윤현진 KBS 교향악단 부지휘자는 한양대학교와 독일 만하임 국립음대, 함부르크 국립음대에서 지휘과 최고연주자과정을 최우수성적으로 졸업한 젊은 실력파이다. 세계 최고 권위의 프랑스 브장송 국제지휘콩쿠르 제53회 결선무대 진출을 비롯하여 국제지휘콩쿠르 대상과 함께 특별상을 수상하며 지휘자로서 국제무대의 주목을 받고 있다.
 
공연은 7월 13일 오후7시 30분이고, 1층 20,000원 2층 15,000원으로 7세 이상이면 누구든지 입장이 가능하다.
  
입장권 예매는 전화(728-1509, 8953)와 제주아트센터 홈페이지(http://arts.jejusi.go.kr)에서 6월 25일부터 가능하다. 제주4.3유족, 노인, 다자녀가족 등은 50%할인, 문화사랑회원 및 20인 이상 단체 등은 30% 할인이 적용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