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서귀포시 개발행위 매년 증가 추세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가장 많아

서귀포시에서 대규모 개발행위가 이어지고 있다.

 

서귀포시의 2017년 개발행위 허가면적은 477704(144759)2016년 허가면적 279604(84728) 대비 70.9%증가하였다.


전년 대비 개발행위허가 면적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묘지조성과 태양광발전시설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특히 태양광발전시설 허가 건에 따른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귀포시 태양광발전시설설치는 총 42195796가 허가되어 2016년 보다 면적 기준 120% 늘었고, 그 중에서 성산·대정읍 지역이 서귀포시 전체의 47.6%를 차지했다.


태양광발전사업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원인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정책에 따른 국고 보조 지원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공작물설치 및 야적장 조성은 각각 64.9%59%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개발행위허가의 지역별 분포는 동지역이 11334로 전체의 23%, 남원읍이 10844822%, 성산읍이 10248421%, 표선면이 6638114%, 대정읍, 안덕면 순이며 남원성산표선 동부지역의 허가면적이 277313로 전체의 5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7년 개발행위허가의 유형별로는 태양광발전시설의 허가면적이 195796로 전체의 41%를 차지하며, 그 외로 대지조성 및 주차장조성, 묘지조성 순.


태양광발전시설(42, 195796), 대지 및 주차장조성(79, 59580), 묘지조성(86, 43139), 물건적치 및 야적장조성(16, 27176), 농지개량(6, 2842), 공작물설치(16, 11265) 등 순이다.

 

최근 5년간(2013~2017) 개발행위허가는 지역별로 남원·대정읍이 면적대비 서귀포시 전체의 50.3%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부적인 유형별로는 태양광발전시설 설치가 64.7%로 나타나고 있으나, 최근 남원읍에 대한 태양광발전시설 개발은 줄어들고 있다.

 

5년간 개발행위허가를 살펴보면, 태양광발전시설에 따른 개발행위가 서귀포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에도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의 개발행위는 당분간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귀포시는 5년간 개발행위 자료를 기초로 하여 매년 지역별유형별 개발행위허가 증·감 추세를 분석하여 급속도로 개발행위허가가 증가한 지역에 대해 무분별한 개발행위 등을 모니터링하고 서귀포시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제도개선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여성폭력 피해자 원스톱 지원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가정폭력, 교제폭력, 스토킹, 디지털성범죄, 권력형 성범죄 등 복합·고난도 여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원스톱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유관기관 간 유기적 협력을 바탕으로 여성폭력 피해자를 신속하게 지원하는 ‘여성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여성폭력 피해자가 겪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인 여성긴급전화 1366제주센터를 중심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성폭력 피해자들이 15일 이내에 긴급 보호부터 의료, 심리 상담, 법률 지원, 디지털 피해물 삭제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경기 등 일부 지역에서 여성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사업이 시범 운영됐으나, 올해 공모를 통해 제주도를 포함한 11개 시도로 확대되면서 도내 여성폭력 피해자들도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통합지원 서비스를 받게 됐다. 이번 사업을 통해 제주지역 여성폭력 피해자들은 보호지원, 의료지원, 심리지원, 법률상담, 피해물 삭제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어 신속한 일상 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