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안덕면 클린하우스 관리, 이색시책 눈길

 

안덕면에 설치된 클린하우스가 확~ 달라졌다. 안덕면(면장 김창운)에서는 늘어나는 불법배출 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마을부녀회(회장 유부자)와 노인회, 지역단체와 머리를 맞대어 불법쓰레기 배출 척결에 앞장서고 있는 가운데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관리하는 이색시책을 선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안덕면에는 12개 마을에 총 59개의 클린하우스가 있고, 이는 타 읍면동에 비해 비교적 많은 편에 속한다.

 

농촌지역의 특성상 지역이 넓은데다 영농폐기물이 많고, 용머리, 산방산, 화순곶자왈, 화순해수욕장 등 관광지를 찾는 관광 유동인구가 많아 생활쓰레기 배출이 많은 곳이다.

 

 

특히 농어촌민박과 펜션 건축공사가 급증하여 건축 폐자제 등 무단배출이 많아 골머리를 앓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면에서는 관리취약 클린하우스 26개소를 선정하여 특별 관리대상으로 선정, 청결지킴이 배치 및 부녀회원이 조를 편성하여 주말 환경 감시단 운영을 하여 낮에 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클린하우스 가꾸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클린하우스 주변 공한지가 있어 상습적으로 불법쓰레기가 적치되고 있는 클린하우스를 선별하여 우리동네 클린하우스 우영밭 조성사업을 하고 있다.

 

우영밭 관리는 그 지역 거주 어르신을어르신 명예환경감시단으로 위촉, 부녀회원과 1:1 결연을 맺고 지속적으로 우영밭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리동네 클린하우스 우영밭은 5월에 화순리 2곳이 우선적으로 조성되었다. 우영밭은 안덕면의 농촌지역 특성을 감안하여 한 곳은 고추 모종을 심어 야채밭으로, 안덕초등학교 옆 클린하우스에는 천일홍을 심어 꽃화단을 조성하였다.

 

안덕면에서는 우리동네 우영밭을 조성하여 주민들에게 클린하우스는 더럽다는 인식을 줄이고 악취 민원 감소 및 아름다운 클린하우스 환경 유지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마을의 복지회관 주변에 설치된 클린하우스는 그 마을 노인회가 맡았다.

 

어르신 책임관리로 인한 홍보효과가 커서 수시 감시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고, 그 지역 주민 전체가 모니터링 요원화 되어 훨씬 청결한 클린하우스로 재탄생 되었다.

 

이에 참여하는 노인회는 덕수노인회(회장 송대원), 사계 신항동노인회(회장 김일천), 대전노인회(회장 강경하), 동광단지노인회(회장 이승민) 등이다.

 

노인회장 지도아래 노인회원이 순번을 지정하여 매일 순찰하기도 하고, 직접 청결 지킴이로 참여하여 정비 등 관리를 함으로써 관리 취약하던 클린하우스가 청결관리 우수한 곳으로 변모하였다.

 

명예환경지킴이로 활동하시는 화순리 임본산 어르신은 내 땅처럼 관리할 수 있는 텃밭이 생겨서 좋고, 예전보다 훨씬 깨끗해진 클린하우스가 되어 기쁘다. 내 집앞 우영밭이라고 생각하고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하였다.

 

김창운 안덕면장은, ‘클린하우스를 비롯하여 오름 하천 방치 폐기물 등 커져가는 쓰레기 무단투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답은 바로지역주민에게 있다고 생각하고, 주민이 참여하여 함께 가꾸는 행복한 환경마을이 되기 위하여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보건소,‘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실시
제주보건소는 지난 18일 보건교육실에서 ‘2025년 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생물테러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이용해 인명 살상이나 질병 유발을 목적으로 사회 붕괴를 의도하는 테러 행위를 말한다. 현재 법정 생물테러감염병은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마버그열,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두창, 야토병 총 8종이 지정돼 있다. 이번 훈련은 생물테러(의심) 사건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과 초동대응요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훈련에는 도내 6개 보건소를 비롯해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관계자 60여 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기관별 역할을 숙지하는 이론교육과 함께 ▲생물테러 대응절차 실습, ▲개인보호복(Level A·C) 착·탈의, ▲다중탐지키트 사용 및 검체 이송 등 실제 상황을 가정한 실습 훈련을 병행했다. 특히, 제주보건소는 ‘생물테러 현장 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훈련을 진행했으며, 기관별 의견 수렴과 협의를 통해 실제적이고 유기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박주연 감염예방의약과장은 “이번 훈련은 초동대응요원의 현장 대응력과 유관기관 협력체계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