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한라산 신선(神仙)의 길에 새기다, 한라산 마애명 탁본전시회 개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원장 이순배)은 한라산 백록담과 탐라계곡내에 새겨진 마애명(磨崖銘) 탁본자료 40여점과 현장사진을 곁들인 한라산 神仙의 길에 새기다라는 제목으로 마애명 탁본 전시회를 13일부터 다음달 215일까지 한 달여간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예로부터 신선산(神仙山)으로 불리어 온 한라산에 새겨진 마애명은 조선시대 제주지방에 부임해 온 목사(牧使)나 관료, 유배인 또는 제주유림 등에 의하여 한라산을 등람(登覽)하면서 새겨놓은 것으로써, 우리나라 명승으로 지정된 백록담 내에서도 동벽과 북벽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으며, 제주목(濟州牧)에서 출발하는 한라산 유람의 주요 등산로였던 한천 상류인 탐라계곡에서도 발견되었다. 새겨진 글자는 한라산을 오른 이의 성명과 동행인, 날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간혹 호방한 필체로 오언절구를 새겨놓은 이도 있었다.

    

 

주요 전시작품으로는 제주목사로 부임해온 1758년 조위진, 1794년 심낙수, 1811년 조정철, 1836년 박장복, 1837년 조우석 등이며, 유배인으로는 1520년 김정과 1767년 정이환과 임관주, 제주인으로는 1767년 신호인, 1811년 김종보 등을 꼽을 수 있으며, 1966년 제주도지사 정우식 일행과 1955년에 한라산 정상에 세워진 한라산개방평화기념비도 탁본자료와 함께 전시하였다.

 

이번에 탁본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던 대표적인 인물로는 백록담내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1520년 제주에 유배 왔던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의 저자 김정의 마애명과 간옹 이익, 조관빈과 조정철의 마애명 등이다. 그리고 탐라계곡내에서의 웅장한 행서체 글씨인 은선동(隱仙洞)’마애명 탁본자료 등도 확보할 수 있었다.

 

전시회에서는 마애명 한자 원문은 관람객이 읽기 쉽게 현재의 어법에 맞게 좌에서 우로 가로쓰기와 띄어쓰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애명 설명안내판을 함께 전시하여 탁본원본과 실제사진을 수록하여 관람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한라산내에 새겨진 마애명에 대한 조사는 1979년 홍순만 선생이나 1999년 오문복 선생,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등을 통하여 이미 알려졌었지만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에서 2012년부터 2년간 한라산 백록담 및 탐라계곡 내에서 정밀 현지조사를 다시 실시하였다.

 

2년간의 조사를 통하여 타기관에서 이미 조사된 자료 이외에도 상당부분 추가로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칼바람이 살을 에는 백록담내에서의 탁본작업을 실시하여 큰 조사성과를 낼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자료 중에서 글자판독의 오류와 역사적 인물의 행적자료도 추가로 조사하고 수정하여 그 결과를 2014년에 발간한 한라산의 마애명에 전량 수록하였다.

 

이번 전시회는 남한의 최고봉인 한라산내에 새겨진 옛 선인들의 행적과 발자취를 좇는 향토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우리나라의 명승 한라산이 수려한 생물다양성의 가치뿐만 아니라 소중한 역사문화적 가치 또한 품고 있는 유산(遺産)임을 다시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앞으로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에서는 이번 전시회를 통하여 많은 탐방객과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자칫 붕괴 위험에 처한 백록담내의 마애명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향후 보전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소방, 의용소방대와 함께 쓰담달리기(플로깅) 릴레이 돌입
제주의 청정 해안을 지키기 위해 소방안전본부와 의용소방대가 섬마을을 찾아가 쓰레기를 줍고 환경정화 활동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본부장 주영국)는 10일 도 의용소방대연합회(남성회장 최운철, 여성회장 이미경)와 함께 제주시 우도에서 ‘쓰담달리기(플로깅)’ 행사를 열고 해안 정화 활동을 전개했다. 이번 행사는 ‘안전한 제주! 청정한 제주! 의용소방대와 함께!’라는 슬로건 아래, 도민과 관광객 모두가 안심하고 찾을 수 있는 깨끗한 해안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주영국 소방안전본부장을 비롯한 소방공무원 20명과 의용소방대원 300명 등 총 320여 명이 참여해 우도 해변 일대를 중심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환경정비 활동을 펼쳤다. 참여자들은 해안가 지형에 따라 구간을 나눠 쓰레기를 줍는 동시에, 낙상이나 미끄러짐 등 안전사고에 대비해 각 구역에 안전관리관을 배치하는 등 철저한 안전조치를 병행했다. 행사 종료 후에는 참가자들이 지역 식당을 이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힘을 보탰다. 이번 우도 행사는 ‘섬마을 해안 쓰담달리기(플로깅) 릴레이’의 시작점으로, 오는 16일까지 마라도, 추자도, 비양도, 가파도 등지에서도 순차적으로 환경정화 활동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