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50% 이상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피해 우려가 있는 잔여 생목(生木)을 전량 제거하여 목재로 활용함으로써 산업적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고, 제거지에 대해서는 지역특성에 맞는 향토수를 식재하여 제주 숲의 미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구조 전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2004년 제주 지역에 처음 소나무재선충병이 내습한 이래, 그 발생빈도를 낮추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해왔으나, 2013년 이후의 재선충병의 급속한 확산과 이에 따른 대대적인 방제가 집중되면서 재선충병 피해가 50% 이상에 이르는 등 극심한 지역들이 생겼고, 이들 지역은 5년여간의 지속적인 방제 과정에서 소나무림으로써의 가치를 상실하고, 지역주민들의 불편은 물론 토지의 불법전용 우려 등 토지관리의 한계점들도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미래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제주 숲을 만들어가기 위해, 전반적인 수종을 갱신하는 한편 벌채목은 건축재 등 산업적 이용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종갱신 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한 분석 결과, 현재 우리도 재선충병 피해면적은 해송림 전체면적 16,284㏊(도 산림면적의 18%)의 43.5%인 7,088ha이고, 이 중 심지역은 1,501ha, 중지역은 3,142ha, 경지역은 2,445ha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종갱신 대상지는 이 중 심지역을 중심으로 조사, 선정할 계획으로 약 1,500ha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총사업비는 659억원(생목벌채비 525억원, 조림비용 134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이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율이 50%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이달 말까지 전수 조사를 조기에 마치고, 대상지를 확정한 후 산주 동의 절차 이행을 벌목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