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청정 축산물의 근원은 천연광천수

청정 축산물의 근원은 천연광천수

 
생명의 근원은 물이다. 어렵게 생각할 필요도 없다. 유전자를 지배하기 때문이다. 인체의 70%, 혈액의 83% 세포의 90%이상을 물이 차지한다. 요즘 우리 주변에는 자연의 원리를 뛰어넘어 건강비법으로 약이란 약들을 과잉 섭취하는 경우를 보게 된다. 이른바 ‘건강염려증 환자’다.

역사상 가장 큰 권력과 부를 누렸던 중국 진시황제도 불로초를 구해먹었지만 50세를 넘기지 못했다. 세계 유명한 건강 장수촌 사람들의 공통된 비결이 물이 좋다는데 있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진시황도 불로장생의 비방으로 좋은 약만 찾을 것이 아니라 좋은 물을 상용했더라면 지천명의 나이는 넘겼을 것이라는 것이 많은 학자들의 견해다.

그렇다면 천연암반수를 음용하고 있는 제주도민들은 물에 관한 한, 하늘로부터 축복을 받은 사람들이라고 해도 결코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며칠 전 농림부의 어느 공무원하고 대화를 할 기회가 있었는데 제주산 돼지고기의 맛이 다른 지역보다 고기의 맛이 탁월한 것은 물 때문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나도 이 말에 공감했다.

행정에서도 지난 10년 전부터 FCG란 용어를 사용하여 청정축산물을 부각시켰다. 이를 설명하면 F는 Fresh Air,(맑은공기), C는 Clean Water,(깨끗한 물) G는 Green Fields(푸른초원)의 뜻이다.
결국 한미FTA 파워 극복을 위한 제주축산종합대책도 청정브랜드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축산 경쟁력 강화목표 및 전략을 보면 소 산업분야에 있어서는 흑우를 주 품종으로 육성하고 방목형 낙농산업과 마필산업분야는 경주마,제주마,식용마로 차별화된 신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며, 지리적 표시제 등록으로 양돈산업을 세계최고 명품으로 만들 방침이다.

내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1조 272억원을 투자하여 이러한 사업들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러한 사업들을 추진하는 데는 어려운 문제들도 많다. 무엇보다도 제주의 청정성을 유지가 급선무다. 가축분뇨처리방법을 어떻게 유지하고 냄새를 어느 정도까지 줄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는 관만의 일이 아니다. 축산농가에서도 지혜를 합치고 앞장서야할 부분이다. 축산관련 모든 기관단체들이 청정축산이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중추산업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머리를 맞대야할 때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친환경농축산국 축산정책담당사무관 장문협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표선면 일대 교통안전 캠페인 전개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은 22일 오전 8시 서귀포시 표선면 일대(표선초·중·고등학교)에서 교통문화지수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번 캠페인은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 표선면사무소, 표선파출소, 표선초중학교 교직원 및 학부모회, 표선면 자생단체(주민자치위원회·이장단·자율방재단·새마을부녀회), 시니어클럽 등 민간치안협력단체 50여명이 참여했다. 표선초·중·고등학교 등교시간대인 오전 8시부터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안전수칙을 안내하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리플릿도 배부했다. 특히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는 올해 3월부터 서귀포경찰서와 긴밀히 협력해 서귀포시내 주요 도로와 교차로를 중심으로 음주운전 단속을 집중적으로 시행해 왔다. 5월부터는 표선면 등 시외지역으로 단속 범위를 확대해 농촌·관광지·외곽도로 등 사각지대 해소에 나서고 있다. 외곽지역에서의 음주운전은 단속 회피 심리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선제 대응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표선지역의 인구 유입 증가와 함께 IB 학교인 표선초·중·고등학교 학생 수(1,500여명)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해당 지역의 통학로 교통안전 확보 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