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를 농식품이 안전한 건강·행복의 섬으로 세계에 알리자!우리도는 사람, 상품,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국제자유도시를 완성시키기 위하여 지난 2006년 7월 1일 정부로부터 외교, 국방, 사법 등 국가의 존립업무를 제외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받아 제주특별자치도를 출범시켰다. 그리고 제주특별자치도는 청정1차산업, 관광, 의료, 교육, 첨단(BT.IT)산업을 핵심전략산업으로 정하여 육성 발전시켜 나가고 있음은 모두가 잘 알고 있다. 이러한 핵심전략 산업은 청정1차산업을 바탕으로 하거나 연관되어진 것 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예컨대 우리도의 관광은 농촌과 농업이 어우러진 풍광과 농촌의 고유한 문화, 그리고 관광의 하나인 먹거리 역시 우리지역의 청정 환경에서 생산된 고품질 농산물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외국어 교육기관, 의료시설, 첨단산업육성도 기본이 되는 안전한 농산물의 있기에 크게 배팅이 가능하다고 본다. 때문에 우리 지역에서 생산 공급하는 모든 농산물은 안전성을 담보로 하는 고품질 안전 농산물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관광, 교육, 요양, 비즈니스 등으로 체류하는 모든 손님들에게 제주에 있는 동안만큼은 건강하고 편안한 마
과잉생산 채소류 해결책은 없는가? 요즘 우리도의 월동채소류가 소비부진과 가격하락 등으로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여름부터 무더운 날씨에도 구슬땀을 흘리며 자식처럼 가꿔왔던 농산물을 처리하는 농업인들의 아픈 심정을 어찌 다 헤아릴 수 있을 것인가. 우리 도의 월동채소류는 겨울철 따뜻한 기후여건으로 대부분 노지포장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그래서 추운 겨울에도 신선한 상태로 시장에 직접 출하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다소 증가되어도 시장 차별화가 가능하고 육지부의 기습한파 등 기상여건이 나빠지는 경우는 소득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그러나 최근 겨울철 기온이 상승되면서 우리와 같은 월동채소류가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가 확대되면서 전국적인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결국 우리 도의 경쟁력은 떨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과잉생산에 대한 문제가 매년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농산물시장의 급속히 변화되면서 국내 농산물 유통시장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분들은 대부분 적정생산을 위한 생산조정과 소비자가 찾는 고품질생산이라고 하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